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1941년 11월 26일에는 일본 정부가 미국에게 선전포고를 받게 된다(일본이 그렇게 생각했다). 그 유명한 헐노트(Hull Note)다. 당시 미국의 국무장관이었던 코델 헐이 주미 일본 대사였던 노무라와 구루스에게 전달했던 것이다. 그 주요 내용을 살펴보자면,


d0013739_8405038.jpg


1. 미일 두 나라는 영국, 중국, 일본, 네덜란드, 소련, 태국, 미국 간의 다자간 불가침 조약을 체결을 위해 노력할 것.

2. 두 나라는 프랑스 령 인도차이나에 대해 프랑스의 영토 주권을 존중. 인도차이나와의 무역이나 통상에서 있어서 차별적 대우를 하지 않을 것.

3. 중화민국 및 인도차이나에서 일본군 및 경찰력의 전면 철수.

4. 두 나라는 장개석 정부 외에게는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지원을 하지 않을 것.

5. 영국과 기타 열강들이 중국에서의 치외 법권을 포기하게끔 미일이 노력할 것. 치외 법권 외에도 1901년 베이징 조약에서 보장한 외국인 거주지와 관련 권익도 포함한다.

6. 최혜국 대우를 기초로 하는 통상 조약 재체결을 위한 협상 시작.

7. 미일 상호간의 자산 동결 해제.

8. 엔-달러 환율 안정에 관한 협정 체결 및 통화 기금의 설립. 기금은 양국이 절반씩 부담.

9. 미일 두 나라가 제3국과 체결해 놓은 협정들이 이 합의의 참뜻과 태평양의 평화 유지를 침해하게 해석되지 않도록 미일 양국이 노력할 것.

10. 이 협약의 기본 원칙을 다른 나라들도 따르도록 미일 두 나라가 함께 영향력을 행사할 것.


일본으로서는 거의 받아들이기 힘든 조건이었고, 당시 미국 정부도 일본이 이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데 어째서 이런 조건을 내던진 것일까?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당시 미국은 일본의 외교암호 코드를 깨뜨린 상황이었다. 일본의 다음 카드를 손바닥 들여다보듯 확인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당시 주미 일본대사들은 2개의 협상 카드를 본국으로부터 건네받았다.


첫 번째 카드는,


“일본군을 제한적으로 철수하고, 중일전쟁을 종료할 수도 있다.”


1941년 11월 6일에 발표된 내용이었다. 이 역시도 미국은 알고 있었다. 미국은 이 제안 역시 ‘순수한 외교적 노력’이라기보다는 시간벌기용이라 생각했고, 나머지 두 번째 카드를 받아보고 생각을 정리하려고 했다(큰 기대는 없었다). 일본은 두 번째 카드 역시 공개했다.


“일본에 대한 석유 수출만 재개된다면, 일본은 동남아시아와 중국에서 군을 철수하겠다.”


일본으로서는 파격적인 제안이었지만, 미국은 시큰둥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일본의 말과 행동이 달랐기 때문이다. 일본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던 미국의 정보망에서 흘러들어오는 정보들은 일본 외교관들이 말하는 내용과 달랐다. 당시 일본군은 여전히 군사행동을 준비중이었고, 인도차이나나 중국에 주둔한 군대들도 철군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시간을 끌기 위한 수작이다.”


형식상으로 보자면, 11월 20일 일본이 전쟁을 피하기 위해 마지막 카드를 던졌지만 미국은 너무도 간단히 이 카드를 내팽개치고, 최후 통첩성 권고를 던진 것이다. 그것도 불과 일주일 만에 말이다. 미국은 일본을 불신하고 있었고(불신할 수밖에 없었지만), 일본에게 더 이상 끌려 다니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있었다. 이미 그들도 전쟁을 예상하고 있었다.


Q.jpg


당시 국무장관 헐은 육군 장관과의 통화에서,


“이제부터 나는 미일교섭에서 손을 떼겠다. 자네나 녹스가 알아서들 해라!”


라고 말하곤, 전화를 끊었다. 한술 더 떠 루즈벨트는 이 헐노트를 일본 측에 건네주고 나서,


“일본은 화가 나서 쳐들어 올 것이다.”


루즈벨트의 발언이 음모론으로 들릴 수 있지만(진주만 공격 유도론), 이는 당시 미국 정가에서는 상식처럼 떠돌던 이야기들이다. 즉, 일상적인 수준의 발언이었다. 게다가 루즈벨트와 헐은 일본의 외교문서를 해독한 암호를 받아보던 상황이었다.


당시 미국의 권력수뇌부가 일본의 정보를 어디까지 파악하고 있는지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야기가 있다.


헐노트를 일본에게 건넨 얼마 후 루즈벨트와 군 수뇌부에게 보라색 종이가 한 장 배달되었다. 당시 보라색 종이의 문건은 1급 기밀로 분류된 것으로 수뇌부에 한해 열람되던 최신 정보였다. 그 보라색 종이에는 일본의 도고 외무대신이 미국의 노무라와 구르스 대사에게 보낸 암호 전보의 원문과 암호 해독문이 담겨 있었다. 그 내용은 충격적이었는데,


“귀관들은 인간의 한계 이상으로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우리나라에 참을 수 없는 굴욕적인 제안을 해왔다. 이제 교섭은 완전 결렬되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인상을 그들에게 주지 않도록 유의할 것.”


헐 노트가 일본에 전해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은 일본이 전쟁을 조만간 일으킬 거라는 걸 알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 즉시 진주만에 경고를 날렸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WPC4C(대일본전쟁의 작전명령)이 26일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무미건조하게 말하자면, 미국은 일본이 조만간 쳐들어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대일전쟁을 이때부터 준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단순히 경계경보를 발령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논리적으로 보자면 미국은 일본과의 전쟁을 준비했다.


CzSCjEVUoAAyxaT.jpg


당시 미국 육군의 육군장관 헨리 스팀슨(Henry Stimson)은 루즈벨트 대통령이 미 군부와의 회의에서 발언했던 내용을 증언했는데,


“일본 사람들은 선전포고도 없이 전쟁을 시작하는 악명 높은 사람들이기 때문에 아마 12월 1일 월요일에 공격을 할 것이다.”


루즈벨트의 예상은 ‘살짝’ 빗나갔다(일주일 정도의 오차였다). 중요한 것은 미국의 최고 군통수권자부터 외교의 수장, 각 군의 지휘관들은 조만간 일본이 쳐들어 올 것이란 것에 동의했고,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미 해외 주둔 미군에게는 비상경계령이 내려진 상황이다. 문제는 일본군이 어딜 공격하냐는 것이다. 당시 루즈벨트 대통령은 ‘전쟁대비위원회’의 멤버들 앞에서 개인적인(그리고 그 동안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의견을 피력했는데,


“말레이시아나, 동인도제도에서‘’ 전쟁이 터질 것이다.”


일본이 미국 영토를 공격하지는 않을 것이란 생각이었다. 잘해봐야 아시아 지역의 주둔 미군을 상대로 싸움을 걸 것이란 판단. 그렇다면, 당시 진주만은 어땠을까?


이미 하와이의 킴멜 제독과 쇼트 장군은 이 레인보우 작전을 실행하며 정찰과 안전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준비하고 있었다(‘전쟁대비령’ 통보였다). 단, 이 레인보우 작전에 꼬리표가 하나 달렸다는 게 문제였다.


“시민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지 말 것”




헐 노트에 대한 일본의 반응


도고 시게노리(東郷 茂徳)란 이름은 한국과 인연이 깊다. 그는 에도막부를 무너뜨리고 메이지 유신에 공을 세운 사쓰만 번 나에시로가와촌(苗代川村)에서 한국계 일본인인 박수승(朴壽勝)과 역시 한국계 일본인인 박토메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이다(그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임진왜란 당시 도공으로 끌려온 박평의가 나온다. 그의 조선식 이름도 남아있는데, 바로 박무덕이다).


18442692_303.jpg


한국계 일본인이란 보이지 않는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 그는 동경제국대학 독문과에 합격했고, 이후 대학 재학중 외교관 시험에 합격. 굵직굵직한 외교현안들을 해결해 나갔으며, 일본의 운명을 결정짓는 1941년 도조 히데키(東條英機)내각에서 외무대신으로 입각하게 된다.


그는 외무대신으로 미국과의 전쟁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정통 외교관리 출신이었던 그는 미국이 만족할 만한 협상안(점령지에서 철군안)을 만들어 미국의 마음을 돌리려 애썼으나, 그의 노력은 일본 군부의 반발과 미국의 냉대로 물거품이 된다.


그런 그에게 날아온 것이 ‘헐노트’였다. 당시 일본 정부의 고위 관계자들과 군부는 이 헐노트가 최후통첩이라고 생각했다. 당시 외무대신이었던 도고 시게노리 역시 이 생각에 수긍했다. 일부에서는 헐노트는 개전 조약상의 최후통첩 규정보다 더 강한 내용을 담고 있기에 일본은 ‘자위를’ 위해 국제법상 통고 없이도 미국을 공격할 수 있다는 ‘과격한’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일본의 일방적 주장이지만).


그 정도로 일본은 격앙돼 있었다.


1941년 12월 1일 어전회의에서 개전의 결정이 내려진다. 같은 시각 태평양 반대편의 미국에서는 한 명의 일본인이 본국의 결정을 되돌리기 위한 최후의 수단을 준비하고 있었다.



1. 전쟁국가 일본/ 살림출판사/ 이성환

2. 호호당 선생의 ‘프리스타일’

3. 세계전쟁사/ 육군사관학교 전사학과/ 황금알

4. 러일전쟁과 을사보호조약/ 이북스펍/ 이윤섭

5. 조선역사 바로잡기/ 가람기획/ 이상태

6. 다시 쓰는 한국근대사/ 평단문화사/ 이윤섭

7. 대본영의 참모들/ 나남/ 위텐런 지음, 박윤식 옮김  

8. 나모위키

9. 쇼와 16년 여름의 패전/ 추수밭/ 이노세 나오키 지음

10. 『중일 전쟁』 용, 사무라이를 꺾다/ 미지북스/ 권성욱 지음

11. 나는 일본군, 인민군, 국군이었다 / 서해문집/ 김효순 지음

12. 석유전쟁/ 매일경제신문사/ 정기종 지음

13. 우리의 눈으로 본 일본제국 흥망사/ 궁리/ 이창위 지음

14. 연합함대 그 출범에서 침몰까지/ 가람기획/ 박재석, 남창훈 지음

15.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4246

16. 일본의 이중권력, 쇼군과 천황/ 살림출판사/ 다카시로 고이치

17. 히로히토 신화의 뒤편/ 을유문화사/ 에드워드 베르 지음

18. 일본의 가장 긴 하루/ 가람기획/ 한도 가즈토시 지음





1부 

[러일전쟁]


2부

드레드노트의 탄생

1차 세계대전, 뒤바뀐 국제정치의 주도권

일본의 데모크라시(デモクラシー)

최악의 대통령, 최고의 조약을 성사시키다

각자의 계산1

8년 의 회, 던 축 

일본은 어떻게 실패했나2

만주국, 어떻게 탄생했나



외전

군사 역사상 가장 멍청한 짓

2차대전의 불씨

그리고, 히틀러

실패한 외교, 히틀러를 완성시키다

국제정치의 본질



3부

태평양 전쟁의 씨앗1

태평양 전쟁의 씨앗2

도조 히데키, 그리고 또 하나의 괴물

일본을 늪에 빠트린 4명의 '미친놈'

대륙의 각성완료, 다급해진 일본

대동아(大東亞)의 환상에 눈 먼 일본

일본, 건드리지 말아야 할 걸 건드렸다 1

일본, 건드리지 말아야 할 걸 건드렸다 2

일본의 패배

일소중립조약이 파기되던 순간 1

일소중립조약이 파기되던 순간 2

천조국, 움직이다



4부

왜 일본은 미국과 전쟁을 하려고 했을까

신성불가침으로 만들어진 권력, 덴노(天皇)

일본의 반인반신, 덴노(天皇)의 오판과 태평양 전쟁

미국과 일본의 외교와 태평양 전쟁

정신력으로 전쟁을 결정한 일본






100931659.jpg


91192701.jpg


펜더가 디비주는 전쟁으로 보는 국제정치


조약, 테이블 위의 전쟁

러시아 vs 일본 한반도에서 만나다





펜더


편집 : 꾸물

Profile
딴지일보 공식 계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