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370159_644_734.jpg

 

 

 

인생의  일당 10 8,000

 

인력사무소에 처음 나갔던 날이 생각난다. 주워들은  있어서 새벽에 나간다는 것까진 알았다. 근데, 정확히   출근인지 몰랐다. 어쩔  없이 새벽 4 반에 일어났다. 그게  뭐라고 전날부터 긴장한 탓에 잠도 제대로    말이다. 부랴부랴 준비하고 인력소에  시간은 5. 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5 반쯤 되니까 사장이 왔다.  앞에서 서성이는 나를, 사장은 위아래로 훑었다.

 

노가다 해봤어?”

 

 해봤다. 그래도 왠지, 본능적으로, 그렇게 대답하면    같았다.

 

아 네, 군대 가기 전에   해봤습니다.”

 

.”

 

?”

 

주민등록증 달라고.”

 

근데 보자 보자 하니까 언제 봤다고 반말이야, 라는 말은 당연히 하지 않았다. 이제는  적응돼서 반말 정도는 신경도  쓴다. “어이~” 시작해 “X, X 같네.” 끝나는  노가다판이니 말이다. 혹시라도 노가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런 쌍욕에 상처받지 마시라. 노가다판에서 쌍욕은 일종의 추임새니까.

 

주민등록증을 복사해 간 사장은 으레 그렇듯, 간단한 호구 조사를 시작했다. 노가다판엔  왔냐, 원래는 어떤  했었냐, 결혼은 했냐 등등.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아닐 테니 나도 형식적으로 대답했다. 그냥 회사 다니다가 그만두고 용돈이나 벌러 왔다는 식의 빤한 대답.

 

체격이 좋네?”

 

기회는 이때다 싶었다.

 

아 예, 고등학교 때까지 유도  했습니다. 힘쓰는 일이라면 자신 있습니다.”

 

이건 사실이다.

 

근데 안전화는?”

 

? 안전화요?”

 

그렇다. 안전모나 안전벨트, 각반 등등은 옵션이지만, 안전화는 필수였다. 그땐 몰랐다. 노가다   먹으면서  이유를 알았다. 못에 찔리는 일이 허다하다. 안전화  신으면 발바닥에 구멍   있다. 정말이다.

 

다행히 사장은  마음에 들어 했고, 사무실에 굴러다니던 안전화를 빌려줬다. 덕분에 첫날부터 일할  있었다. 줄곧 월급쟁이로만 살아봐서 그런가.  일당 10 8,000원을 받았을 때의  기분이란. 지금도 잊을  없다.

 

Resized_20170825_164254.jpg

 

 

제발 직선  타지 말라고

 

그렇게  노가다꾼이 됐다. 그러면서 장돌뱅이라는 것도 알았다. 인력소 마지막 에피소드! 장돌뱅이 이야기다.

 

누차 얘기한 것처럼 인력소는 인맥을 사고 파는 곳이다. 우리는  대가로 일당의 10% 사장에게 떼어준다.  바닥에서는 그걸  뗀다고 표현한다. 하루 1 남짓. 일주일에 하루나 이틀 쉰다 치고   열심히 일하면 이십여  원을 똥으로 떼는 거다. 많다면 많은 돈이고, 적다고 생각하면  별거 아니다. 어쨌거나 사장이 평생에 걸쳐 쌓아온 땀과 노력의 결과 값이니, 나는 합당한 돈이라고 생각하는 축이다. 문제는   때문에 사람이 치사해진다는 거다.

 

현장에서는 인력소를 통해  나온 사람을 용역이라고 부른다. 현장 소장이든 오야지든 일손이 급해 용역을 부르긴 하는데, 특별한 기대는  한다. 그도 그럴  용역치고 열심히 하는 사람이 드물다. 용역 입장에서 현장은  마디로, ‘ 이다.  공사 현장의 결과가  삶과 무관하다는 얘기다. 열심히 하든  하든 오후 4 반이 되면 일당이 나온다. 더군다나 어차피 오늘 보고  관계이기 때문에 예의와 격식을  차리지 않는다. 적당히, 설렁설렁. 이것이 용역의 모토다. 물론,  그런  아니지만.

 

 성격이  지랄 맞다. 슬슬 눈치 봐가며 삐대는   거북하고 불편하다. 그리고 그러면 시간도   간다. 차라리 열심히 하는   편하다. 시간도 빨리 가고, 괜히 욕먹을  없으니까. 그래서 어떤 현장이든 그냥 열심히 하는 편이다.

 

나처럼 미련하게 하는 용역은 눈에  수밖에 없다. 일이 끝날 때쯤이면  현장 소장이 연락처를 물어본다.

 

젊은 친구가 열심히 하는구먼! 내일부터는 괜히~  떼지 말고 바로 현장으로 나와~”

 

현장 소장 입장에서 이러나저러나 나가는 돈은 똑같고, 이왕이면 보장된 용역을 부리는  좋으니까. 당연한 이치다.

 

이런 과정을,  바닥에선 직선 탄다고 표현한다.  직선이 인력소 사장을 가장 골치 아프게 만드는 상황이다. 인부가 그렇게 직선을 타버리면 현장도 잃고, 인부도 잃고, 무엇보다 돈을 잃는다. 그래서 사장은 새로운 인부가 오거나, 새로운 현장에 인부를 보낼  거듭 직선  타지 말라고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선 타는 인부는 어디에나 있기 마련이다. 한두  직선 타는 거야 사장도 눈감아주지만, 그게 반복되면 퇴출이다.

 

 바닥에서는 그렇게 직선 타고, 쫓겨나는  반복하면서 인력소 여기저기 옮겨 다니는 인부가 의외로 많다. 그런 이들을 장돌뱅이라고 부른다.   남짓한 돈을 욕심내다가 장돌뱅이 신세가 되는 거다. 현대판 장돌뱅이.

 

노가다판이라고 해서 별 거 없다. 열심히 하면 인정받고, 괜한 것에 욕심부리면 몸이 고생한다. 똑같다.

 

 

1084072_989159_003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