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편집부 주

 

1909년 10월 26일, 항일의병장이자 사상가인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해, 하얼빈 의거를 성공시킵니다.  

 

사용된 권총은 벨기에 FN사가 제작한 "브라우닝 M1900"으로 이 총은 일본으로 넘겨져 법정에 증거로 제출되었으나, 이후 그 행방을 알 수 없어 실물이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본 시리즈는 안중근 의사 서거 110주년을 맞아, 그 총의 행방 및 복원을 위해 고군부투한 이야기를 담은 프로젝트로 매주 연재 예정입니다.       

 

우선 역사부터. 

 

 

8000525696_20100823.jpeg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어떻게 말해야 할까? 정규교육과정‘만’을 밟은 한국인이 본다면,  

 

“조선을 침략했던 원흉!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역에서 사살한 일본 고위 정치인!”



 

정도로 바라볼 거다. 만약 여기서 <바람의 검심>, <막부 풍운록> 같은 일본 만화를 접해본 이라면, 

 

“메이지 유신을 이끈 막부 말기의 유신지사 그룹의 막내.”

 

라는 정보까지 올라갈 수 있다. 한국인 입장에서 이토 히로부미는 과소평가된 부분이 있다(안중근 의사에게 사살당한 이미지 때문인 것 같지만). 일본 내에서도 이토 히로부미가 암살될 당시 여러 복합적인 이유 때문에 이토 히로부미의 죽음이 ‘축소’되긴 했다(물론, 아예 무시하거나 하진 않았다.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다). 

 

까놓고 말하자.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에서 ‘조슈 3존’이라 불리는 인물이다. 일본 조슈(長州 : 오늘날의 야마구치현)지역이 배출한 3명의 인물들이다. 

 

이 3명이 누굴까? 일본 제국 육군의 아버지라 불려도 모자람이 없는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를 첫 번째로 소개해야겠다.

 

YamagataAritomo.png

 

일본제국 제3대, 9대 총리를 지냈고, 육군장관, 참모총장 등 육군의 요직을 거친 인물이다. 청일전쟁 당시에는 제1군 사령관으로 러일전쟁에서는 사령관으로 근무했다. 이 사람은 일본 제국주의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일본육군’의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군인들이 달달 외웠던 군인칙유(軍人勅諭)를 만든 이가 바로 야마가타 아리토모였다. 옥쇄돌격과 가미카제의 뿌리라고 말할 수도 있다.

 

한반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는데, 그가 내놓은 주장 중 하나가 바로 일본의  ‘주권선과 이익선’ 개념이다. 일본이란 나라의 독립자위를 위해 필요한 개념이라는데, 주권성은 말 그대로 일본의 국경을 의미한다(여기에 대해서는 수긍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이익선’이다. 이 이익선에 포함돼 있는 게 한반도이다. 

 

“이익선이 침범당하면, 국가의 주권서도 위험해진다. 이익선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군비를 확장해야 한다.”

 

이것이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주장이다.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함께 조슈 3존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인물이 바로 이노우에 가오루(井上 馨)다.

 

300px-Kaoru_Inoue_4.jpg

 

이토 히로부미와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인물이지만, 조선과 한반도와 관계돼서는 앞의 두 명보다 훨씬 더 밀접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굵직굵직한 큰 사건 몇 개만 보자.

 

① 1876년 강화도 조약 당시 일본 외교대표단의 부사로 조선 관리들을 농락했다.

② 1884년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으로 대표되는 개혁파가 일으킨 정변으로 일본이 피해를 입었다고 조선으로부터 배상금을 받아내는 데 앞장섰다(다들 알다시피 갑신정변은 일본의 지원으로 일어난 거다)

③ 1894년 동학농민항쟁 때 조선군의 지휘권을 빼앗고, 일본군을 동원해 동학군을 학살했다.

④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 직후, 미우라 공사의 후임으로 와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가해자(당연히 일본인이겠다)들을 모두! 단 한 사람도 빼놓지 않고 일본으로 빼돌렸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피의자라 할 수 있는 48명의 일본인들은 강화도 조약에 명시돼 있는 영사재판권을 근거로 일본으로 돌아가 법정에 회부됐다. 이 당시 민간인, 그러니까, ‘낭인’들은 히로시마 지방법원에 배당됐고, 군인들은 5사단 군법회의에 회부됐다. 이들은 명성황후 시해사건 1년 뒤 모두 무죄로 풀려난다.)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

 

1500457797-21.jpg

 

조슈 3존 중에서 우리 민족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인물이자, 근대 일본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듣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근대 일본을 만들었다.”

 

란 말이 과장처럼 들리겠지만, 이는 사실이다. 그는 일본 제국 헌법을 만든 이였다. 일본 제국의 근간을 만들었다고 해야 할까? 

 

그의 인생은 간단히 말해서 끝없는 인정 투쟁과 운의 만남이라 할 수 있다. 그는 1841년 10월 16일 조슈 번 하급 무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때 주어진 이름이 하야시 리스케(林利助)였다. 운이 풀리기 시작한 건 그의 아버지가 이토 다케베(伊藤武兵衛)의 양자가 되면서부터였다. 농민 출신 하급 무사가 이제 무사계급의 말석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그러다가 운명적인 만남을 가지게 된다. 바로 요시다 쇼인(吉田 松陰)이다. 아베 신조 총리가 가장 존경한다는 인물이다. 유신지사들의 스승이었던 그는 근대 일본의 시작을 알리는 인물이었다(한반도를 정벌해야 한다는 정한론을 주장했던 인물이다. 그 스승에 그 제자들이었다). 

 

요시다 쇼인의 제자로 들어간 이토. 여기서 그는 평생의 자산이라 할 수 있는 선배들을 만나게 된다. 마츠시타(松下)촌숙에서의 생활을 통해 메이지 유신 막전막후에서 활약한 쟁쟁한 인사들과 인연을 맺게 된다. 

 

무미건조하게 말해서 이토 히로부미가 수상의 자리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이유는, 

 

“선배들이 모두 죽었기 때문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성공하겠다는 욕망은 강력했지만, 그는 검술도 약했고, 지위도 없었으며, 눈앞에는 쟁쟁한 선배들이 늘어서 있었다. 그가 내세울 수 있는 건 ‘영어를 잘한다.’ 뿐이었다. 

 

들리는 말에 의하면, 자신과 처지가 비슷했던 위인(?)인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초상을 그려놓고는 토요토미처럼 성공하겠다고 다짐했다고 한다.

 

사카모토 료마(坂本 龍馬)에 의해 삿초동맹(薩長同盟)이 결성되고, 뒤이은 대정봉환(大政奉還)으로 일본은 근대로 달려가게 된다. 이때 이토 히로부미는? 그냥 선배들의 잔신부름을 하던 존재였다. 밥 짓고, 담배 심부름하던 존재. 그게 이토 히로부미였다.

 

(간단히 메이지 유신에 대해 설명한다면, 흑선이 출몰하기 전까지 일본은 도쿠가와 막부가 통치하던 시대였다. ‘덴노’라는 존재가 있지만, 덴노의 권력을 위임받아 도쿠가와 막부가 일본을 통치한다는 형식이다. 문제는 이 당시 일본은 수십 개의 나라로 쪼개져 있고, 그 우두머리로 도쿠가와 가문이 올라서 있는 상황. 이 쪼개져 있던 나라들 중 좀 큰 나라들. 소위 말하는 ‘4대 웅번雄藩’이 문제였다. 사쓰마, 도사, 사가, 조슈 4개 번이 힘을 모아 에도 막부를 쓰러뜨린 거다. 쉽게 말해 1등을 쓰러뜨리기 위해 밑에 있던 2, 3, 4, 5등이 힘을 모았다. 문제는 사쓰마와 조슈는 견원지간이었기에 힘을 합치는 게 어려웠다. 이걸 중재한 게 사카모토 료마다. 일본인들이 존경하는 위인을 꼽을 때 전국시대는 오다 노부나가, 메이지 유신 근간에는 사카모토 료마가 꼽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일본이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에게 먹히지 않고, 근대화에 성공하고 제국주의의 막내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주장을 접할 수 있다. 

 

“일본이 에도 막부 시절 축적해 놓은 경제력 때문이다.”

 

“유신지사들의 근대화에 대한 분투 때문이다.”

 

“일본의 숭무(崇武)정신 때문이다.”

 

등등 일본 내부의 어떤 ‘요인’ 때문에 메이지 유신에 성공했다는 말들이 있다. 물론,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거다. 그러나 근본적인 이유를 찾자면, 일본이 ‘운’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1853년 미국의 페리 제독이 태평양을 건너 일본에 도착했다. 이 막전막후의 국제정치 상황을 살펴봐야 한다. 이 당시 서구제국주의 국가 혹은 제국주의로 넘어가려 했던 나라들의 내부 상황이 어떠했을까?

 

TGma704.jpg

 

당사국인 미국은 몇 년 뒤 남북전쟁에 휩싸이게 된다. 즉, 외부로 시선을 돌릴 여력이 없다.

 

그렇다면, 제국주의의 선봉장인 영국과 영국의 라이벌인 프랑스, 그리고 이 당시 ‘유럽의 헌병’을 자처했던 러시아는 어땠을까? 1853년부터 이들은 크림전쟁에 뛰어든 상황이었다(유럽의 강국인 세 나라에 이탈리아의 맹주를 자처하던 사르데냐까지 이 전쟁에 뛰어들어 3년간 혈투를 벌였다). 외부로 시선을 돌릴 여력이 없었다. 

 

독일은 어땠을까? 이때는 ‘독일’이란 나라가 없었다. 프로이센이 한참 통일을 위해 병력을 확충하고, 덴마크,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프랑스로 이어지는 전쟁의 도미노에 뛰어들기 직전이 상황이었다. 프로이센의 빌헬름 1세와 비스마르크가 독일 제2제국을 선포했던 건 보불전쟁의 승리 이후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 들어갔을 때였다. 이때가 1871년이었다. 이 당시 독일의 수상 비스마르크는 신생 독일제국의 기본적인 외교방침을 ‘프랑스를 왕따시킨다’로 초점을 잡고, 다른 강대국의 ‘이익’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대외팽창’을 최대한 억제하고, 외교적으로 프랑스를 포위시키는 전략을 구사했다. 

 

이 모든 것의 총합은, 

 

“일본에 신경 쓸 여력을 가진 제국주의 국가가 없었다.”

 

이다. 영국, 미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 등등 제국주의의 선봉장이었던 나라들이 자신들의 전쟁 때문에 외부에 시선을 돌릴 틈이 없었고, 이 진공상태에서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제국주의로 넘어갈 수 있었다. 

 

이토 히로부미도 마찬가지였다. 유신지사가 활약하던 그 시기, 이토는 검술이 약했다. 결국 그는 자신보다 약해 보이는 이들만 골라서 칼을 뽑아 들었다. 당연히 존재감은 없었다. 존재감이 미약한 덕분에 그는 살아남았다. 유신삼걸(維新の三傑)로 불리며, 메이지 시대를 이끌었던 3명의 남자가 있었다. 기도 다카요시(木戸 孝允 : 일본 수도를 교토에서 도쿄로 옮긴 인물이자, 정한론을 반대하며 조선출병을 막은 걸로 유명한 인물)는 병으로 죽었고,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는 1877년 반란을 일으켰다고 전사한다.

 

그리고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 利通).

 

31.jpg

 

일본 근현대사를 모르더라도 일본 애니메이션과 영화(굳이 일본영화가 아니어도 된다. 헐리우드 영화인 ‘라스트 사무라이’에도 등장한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인물이 오쿠보 도시미치다. 

 

일본 최초의 내무경(内務卿)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내무경이란 오늘날의 ‘총리’라고 볼 수 있다. 어쩌면 총리보다 더 큰 권력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만약 그가 없었다면, 근대 일본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번을 없애고, 이를 현으로 대체해 중앙집권화를 만들었고(폐번치현‘廃藩置県’), 폐도령을 선포해 무사들의 칼을 빼앗고, 조선과 강화도 조약을 체결했다. 아니, 그 이전에 막부정권을 쓰러뜨린 것부터 업적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강력한 권력으로 중세의 일본을 근대의 일본으로 끌고 나간 독재자였다(판을 완전히 갈아엎기 위한 어쩔 수 없는 ‘독재’였다고 개인적으론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그가 노회한 정치계산으로 사이고 다카모리를 몰아붙여 ‘서남전쟁’을 유도해 사이고 다카모리를 죽였다고도 하지만, 그런 상황은 아니었다고 본다. 그는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일본인들을 근대 일본으로 끌고 갔다고 본다).

 

이토 히로부미는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후계자로 낙점을 받았다. 

 

문제는, 오쿠보가 너무 일찍 죽었다는 거다. 암살이었다. 메이지 유신 전후로 일본은 흉흉했다. 암살은 일상이었고, 죽음은 장짓문 건너편에 늘 도사리고 있었다. 일본의 모든 권력을 붙잡고, 구체제를 지워버리려고 애쓰는 이라면, 죽음은 친구처럼 쫓아올 수밖에.

 

유신삼걸이 모두 떠나자 권력의 진공상태가 생겼다. 이 빈자리를 치고 들어온 게 이토 히로부미였다. 유신지사들의 잔신부름이나 하던 이가 일본 권력의 중추에 올라서게 된 거다. 

 

 

(다음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