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별걸다 디벼보기 위원회] TALES OF HEROES

2001.6.14.목요일

딴지 영진공 별걸다 디벼보기 위원회


 

며칠 전에 신문을 보다가 우연히 MSBP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문히아우젠 증후군)과 관련한 기사를 보았습니다.


그 기사에 따르면 이 증후군의 대표적 사례로, 미국에서 1988년과 1994년에 올해의 장한 어머니로 선정되었던 두 여성이 실제로는 자신들의 자녀들을 기아상태로 만들거나 독극물을 먹여 병들게 한 뒤에 아주 헌신적인 간호를 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일본에서 이와 비슷한 사건이 발생해서 그 사회에서 커다란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 병이 증후군이니 만큼 발병원인이 일정하지는 않지만 보통 아이들을 자신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한 물건으로 생각해서 발생하는 병이라고 이 기사는 덧붙이고 있습니다.


자본주의가 발달할수록 자꾸 나는 내가 아니라 그저 수많은 단위 중의 하나로 취급되어 가고, 또 자기의 정체성을 나로부터 발견하기보다는 남들이 알아주어야만 인정받을 수 있는 현실 속에서 이런 병이 생기는 게 아닌가 하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꼬우면 출세해람마~       


그런데, 내가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는 나보다 열등한 불특정 다수들은 희생할 수밖에 없고, 또 그런 강요된 희생들이 현실적 힘 앞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깔아뭉개지는 세태는 우리라고 해서 다를 바 없지 않습니까.


"꼬우면 출세해라"는 말을 많이 들으시는 편입니까, 아니면 많이 하시는 편입니까. 이런 현실 속에서 살아가려면 기를 써 출세하거나, 모든 걸 잊고 마음을 비우거나, 아니면 맞받아 부딪히는 방법이 있을 텐데 어떻게 살고 계십니까.


아니면, 이도 저도 아니게 막 왔다 갔다 하실 지도 모르고, 좀 마음에 걸리지만 몸이라도 편하게, 출세한 편의 머슴살이를 (너무 고깝게 생각하지 마세요, 몇 년 전에 출세한 편의 하나였던 정태수라는 사람이 썼던 표현입니다) 하고 계시는 분도 있을 테지요. 


이수현이라는 분 아시지요. 얼마 전 일본에서 지하철 철로에 떨어진 이를 구하려다 불행히도 세상을 떠나신 분. 제가 받았던 큰 감동만큼이나 많은 분들이 그 이의 얘기를 했던 걸로 알고있고, 또 고인의 이름 앞에 의인이라는 수사를 사용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수사가 영어사용권에서는 대개 영웅 (Hero)이라고 표현이 되고, 또 북쪽에서도 이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표현이야 어찌됐든 요사이 대개 그 뜻의 말하고자 하는 바는, 다른 이들이 나서지 않을 때 선뜻 나아가 자기를 돌보지 않고 남을 위해 헌신한 사람을 일컫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런데 그 영웅이 한 일이란 게 어찌 보면 아무나 할 수 있었고 또 했어야 했던 일이었던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러면 그런 일을 하지 못했던 (아니면 안했던지) 대다수 우리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 걸까요, 그게 아니라면 사실 그런 일은 아무나 할 수 있었던 일이 아니었던가요. 


내 이익을 위해 남을 해치지 마라
남이 어려울 때 돕는 것이 사람의 도리다.


여러분이나 저나 아주 당연한 삶의 방식으로 지금까지 배웠고 또 누군가에게 그리 하라고 얘기하는 것들입니다. 헌데, 참 웃긴 것이 내 이익을 위해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수많은 생명까지 뺏어가며 출세한 이들이 아주 당당하게 큰소리치며 코방귀 뀌고 있는 걸 우리는 너무 많이 봐 왔고 또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이 어려울 때 돕는다는 게 그게 어디 그리 쉬운 일입니까. 그러면 아주 당연하고 너무 쉬운 거라고 배워왔던 삶의 방식들을 실천하지도 거스르지도 못하고 사는 수많은 우리들은 대체 뭡니까. 나는 어쨌든 열심히 살고있고 다른 이들과 어울려 재미있게 살려고 엄청 노력하고 있다는 건 누구보다 내가 잘 알고있는데 이게 어떻게 된 일입니까. 
 



이런 비슷한 생각을 M. Night Shyamalan이라는 감독도 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맥락이 이어지는 두 개의 영화를 만들었는데 그 두 영화는 <제 육감 (Sixth sense)><금강불괴지신 (Unbreakable)>입니다.


육감(六感)은 인간이 가진 오감에 덧붙여 하나 더 있는 감각을 일컫는 말이고, 금강불괴지신(金剛不壞之身)이라 함은 무협지 많이 보신 분들한테 물어보시면 답이 금새 나옵니다. 너무들 많이 보신 영화라 줄거리를 아주 간략히 말씀드리면, 유령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한 꼬마 (제 육감)와 절대 다치지도 아프지도 않는 한 사내에게 벌어지는 일들 (금강불괴지신)을 얘기하는 영화입니다. 







콜(Cole: Haley Joel Osment 분)이라는 녀석은 주위에서 또라이 취급을 받는 비정상적인 꼬마인데, 한때 유명했던 지금은 역시 정상이 아닌 정신과 의사 말콤(Malcom: Bruce Willis 분)의 치료를 받게 됩니다. 말콤은 이 꼬마가 정말 이상하게도 유령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는 걸 깨닫고 그 치료법으로 유령들의 억울한 사정을 나름대로 돕고 함께 이야기 나눠주기를 권합니다.


그래서 콜은 엄마의 MSBP 때문에 죽게 된 한 소녀의 소원을 들어주는걸 계기로 (저도 사실은 이 소녀의 엄마가 아이에게 왜 그런 짓을 했는지 얼마 전에야 알았습니다) 자신을 찾아주는 유령들과의 벽을 허뭅니다. 그러면서 자연히 나는 전혀 또라이가 아니라는 걸 스스로 깨닫고 정체성을 회복하게 됩니다.


이 영화의 주인공인 콜과 말콤은 말 그대로 또라이거나 비정상입니다. 헌데, 이들은 정상적인 이들이 하지 않거나 못하고 있는 일들, 바로 별 것도 아닌 어려움에 처한 남을 돕거나 잘못됐던 일을 바로잡고자 나름대로 노력하는 일을 합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위에서 본 바에 따르면 분명 영웅이 아닙니까.


참으로 서글픈 건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무슨 큰 대접을 받게 되는 것도 아니고 정상인 대접을 받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거지요, 여러분이나 저처럼 말입니다. 게다가 콜이라는 녀석이 가지고 있는 능력이 희한한 초능력인 건 맞는데 이건 정말 없었으면 하는 능력입니다. 하다 못해 땅에 돈 많이 묻어놓고 죽은 유령이라도 찾아준다면 그 돈으로 나도 좀 도움 받고 또 어려운 사람들도 정말 그럴 듯 하게 한번 도와볼텐데 이건 그것도 아니고, 어쩌면 하나같이 억울하고 힘없는 유령들만 찾아오는 게 무슨 초능력이라고.


어떻습니까, 이런 초능력을 여러분도 하나씩 가지고 계시지요. 내 주머니에 돈 한푼 없어도 왠지 굶고 있는 사람 보면 내 끼니라도 주는 게 마음 편하고, 게걸스럽게 내 이익을 탐하려다가도 괜히 가슴이 찔려 한발 물러서는 능력 등등 말입니다. 
 



<금강불괴지신>은 말하자면 장조 노래를 단조로 부르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겁니다. <로보트태권 브이> 노래를 정태춘이 구슬프게 부르는 걸 상상해 보시거나, 그도 아니면 딴따라 딴지에 한번 물어보세요. 그 느낌이 어떤가 하고.


이 영화의 대립되는 주인공 엘리야 (Elijah: Samuel L. Jackson 분)는 만화수집가이자 일러스트 화가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전통적인 만화의 기본구도는 선과 악의 대결이고 대개의 경우 소수의 초능력 영웅이 집행하는 정의가 기필코 이깁니다.


감독도 그런 얘기를 하곤 싶은데 도대체 현실이라는 것이 이런 장조로 노래를 부를 수 없는 상황이고 소수의 초능력 영웅이 집행하는 것이 정의가 아니기에 이 영화의 분위기가 뭔지 모르게 지나치게 가라앉아 있고 좀 우스꽝스러운 영웅이 등장하게 됩니다.









우스꽝? 듀글래?   


그 우스꽝스러운 우리의 영웅은 다름 아닌 데이비드 (David: Bruce Willis 분). 이 친구는 금강불괴지신이라는 초능력을 지니고 있는데, 대단해 보이나요? 글쎄요, 이 친구의 능력도 콜이라는 녀석의 능력과 마찬가지로 어찌 보면 아무나 가질 수 있고 또 가지고도 있는 능력입니다.


여러분들은 보통 자기 소개할 때 이런 말 쓰지 않으세요. "제가 뭐 별 가진 것도 없고 큰 능력도 없지만, 그저 내 한 몸 잘 건사하고, 잘 아프지 않는 게 장점이라면 장점입니다." (건강과 관련하여 다른 이들보다 더 노력하고 계신 분들께서 오해 없으시길 빕니다)


데이비드라는 친구도 바로 그런 사람입니다. 이 친구는 미식축구 스타 (일종의 영웅)로 뜰 수 있었던 기회를 그 놈의 사랑 때문에 포기하고  경비직으로 살아가는 지극히 정상적이고 평범한 인물이었는데, 어느 날 자신에게 금강불괴지신의 몸과 Profiler (적당한 한국말이 생각나질 않습니다)의 능력이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Profiler의 능력도 누가 숨겨놓은 재물의 위치를 알아내는 그런 쪽이 아니라 그저 주변의 사람들이 처한 어려움과 그 원인 제공자를 알아낼 수 있는, 역시 여러분이나 저도 가지고 있으면서 아주 처치 곤란해하는 능력일 따름입니다. 엘리야라는 친구는 자신의 불편한 몸에 대한 불만을 정상적인 남들에 대한 적의를 통해 해소하는 인물인데 (<로보트태권 브이>에 나오는 머리 큰 박사와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지요), 이 친구도 자기의 정체성을 남들에게 인정받고 과시하고 싶어서 남들이 모르고 있는 자신의 커다란 범죄를 애써 데이비드에게 알려주려고 무진 애를 씁니다.


결국, 감독은 불합리한 사회와 그 악행이란 게 무슨 괴상한 초절정의 사파고수들이 부리는 사술에서 비롯되는 게 아니라 나 또는 너 와 비슷한 사람들이 그들만의 이익을 추구하여 그리 된 것이니 만큼 너와 내가 서로의 능력을 합쳐 그 동안 할 수 있었지만 외면했던 일들을 함께 하면 고쳐지리라는 얘기를 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안 그래도 사회 분위기 어수선하고, 가뜩이나 살아가기도 빡빡해서 골치 아픈데 이 무슨 엉뚱한 얘기냐"
"그거 다 알아, 근데 내가 나서서 총대 메면 누가 알아주기가 하냐, 나만 피 보지."


이렇게 저를 꾸짖는 분들이 말씀이 줄지어 들려오는 듯 합니다. 지당하고 지당하신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역시 항상 군시렁 거리는 말이니까요, 아니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어떻게 살 것이냐, 왜 살아가냐 하는 질문은 도대체 답이 없는데도 항상 머리에 맴돌고 또 잊을만하면 불쑥 튀어나와서 사람 피곤하게 만드는 바람에 대충 접어놓고 지내다가 가끔 저 같이 엉뚱한 소리하는 사람 만나서 얘기하다 보면 잊고있던 그 문제도 한번씩 짚어보고 재밌잖아요, 아닌가?


어쨌든, 뭐가 맞을까요.


1) "에이, 그래도 출세는 하고 봐야돼, 그래야 남도 돕지."
2) "그냥 그렇게 사는 거지, 뭐. 자꾸 그런 거 생각하면 골치 아파서
    어떻게 살아?"
3) "그래, 나라도 한번 머리 박아 보는 거야.
    계속 받아보면 아야! 소리라도 들을 수 있겠지."


저는 아주 가끔 3번 생각을 하다가는 그냥 말곤 합니다. 어떠세요, 여러분들은? 여기에서 영웅전설을 일단 접어봅니다.                  


 

 

딴지 영진공
별걸다 디벼보기 위원회 오야봉
이규훈
(
kyuhoonl@earthlink.net)

Profile
딴지일보 공식 계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