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1. 미국의 영화감독 앨런 스미시는 1968년에 데뷔해 20세기가 끝날 때까지 폭넓은 장르의 다양한 영화를 선보인 영화감독입니다. 농담입니다. 앨런 스미시는 가상의 인물이며, 감독이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고 싶지 않을 때 등장하는 일종의 가명입니다.
![]()
582. 영화회사와 영화 프로듀서가 강력한 권한을 가지는 미국 영화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영화감독들은 전미감독협회라는 노동조합을 결성해 감독 권익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감독의 이름이 엔딩 크레딧 최초에 등장하는 관행도 그렇게 획득한 것이지요.
![]()
583. 권한에는 책임이 따르는 법. 영화 완성도가 아무리 낮아도 감독 이름은 크레딧에 들어가야 합니다. 영화가 성공하면 명성을 얻었을 감독은 영화 실패에도 책임을 져야 하니까요. 이것은 미국 영화계에선 중요한 관행입니다.
![]()
584. 영화가 제작 과정에서 감독의 손을 벗어났을 때, 외부의 압력으로 감독이 이 영화는 더이상 자신의 작품이 아니니 내 이름을 걸고 책임을 지고 싶지 않다고 판단했을 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앨런 스미시입니다.
![]()
마이클 만 감독의 <히트>도
기내용 영화로 재편집해서 상영할 땐 그 이름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585. 영화 <총잡이의 죽음>(1969)은 첫 감독이 주연배우와의 의견대립으로 교체되면서 두 감독의 손을 거쳤지만 어느 감독도 자신의 작품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전미감독협회는 크레딧에 감독 이름을 넣는 관행을 지키기 위해 앨런 스미시란 가명을 쓰죠.
![]()
586. 영화 <총잡이의 죽음>을 계기로, 전미감독협회가 감독이 책임질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작품은 '앨런 스미시'란 공통의 가명을 감독 크레딧에 넣고 관계자는이유에 대해 함구한다는 전통이 생깁니다. 이 전통은 영화계에선 2000년까지 이어지죠.
![]()
587. 전설의 영화감독 '앨런 스미시'는 21세기에 은퇴합니다. 가명이 가명으로서 유명해지면 영화제작상의 트러블이 있었다는 사실을 덮는다는 의미는 없어지니까요. 그 뒤로는 비슷한 상황에서 작품마다 다른 가명을 사용하는 관행이 정착합니다.
![]()
한국 제목으로 <앨런 스미시 영화>인
Burn Hollywood Burn
영화에 등장하는 영화감독의 이름이 앨런 스미시
588. 정작 영화 <총잡이의 죽음>은 평단에서 호평을 받았다는 건 재미있는 후일담이죠. 뉴욕 타임즈는 당시 앨런 스미시가 가명인줄 모르고 감독으로서의 그의 기량을 칭찬하는 기사를 내기도 합니다.
![]()
589. 케첩은 미국의 소울 푸드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중국에 다다르게 됩니다. 생선 등을 이용해 만들던 일종의 소스가 동남아시아로 전파되고 이것이 영국으로 건너갑니다. 토마토 케첩이 정착된 건 20세기 이후로 알려져 있죠.
![]()
590. 마요네즈는 프랑스 요리에 사용하는 드레싱으로 원래는 고기 요리용 소스의 일종이었습니다. 마요네즈에 야채를 찍어 먹으면서 "이것도 따지고 보면 프랑스요리다!"라고 주장하면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프렌치를 즐길 수 있죠.
![]()
591. 태풍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것은 호주의 예보관들이었습니다. 자신들이 싫어하는 정치인의 이름을 붙였다고 하죠.
"현재 ---이 제주도 남쪽 먼 바다에서 북상중입니다" 빈칸에 여러분이 싫어하는 정치인 이름을 넣어 보시기 바랍니다.
![]()
592. 2차대전을 거치면서 괌의 미합동태풍경보센터가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합니다. '여자처럼 순해지라는 의미'로 여성의 이름만 붙이다가 1978년 이후에야 남녀 이름을 교대로 붙이게 되었다고 하죠.
![]()
593. 2000년 이후, 한국을 포함한 14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태풍위원회가 회원국 고유 이름으로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합니다. 1959년에 한반도를 휩쓴 태풍이름이 영어식 여성 이름인 사라이고 2003년의 태풍은 매미인건 이런 이유지요.
![]()
594. 태풍위원회는 회원국이 제출한 각국 언어로 된 태풍 이름을 순서대로 돌아가며 사용합니다. 그러나 큰 피해를 입힌 태풍은 다시 그런 피해가 없도록 이름을교체하죠. 한국이 제출한 이름 중엔 매미가 무지개로, 나비가 독수리로 교체됐습니다.
![]()
595. 일본도 태풍위원회 회원국이며 일본어로 된 이름도 제출하지만, 정작 자국에서 태풍 보도를 할 땐 몇 호 태풍인지만 밝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본에서 태풍은 수험생의 부러움을 사기도 합니다. 진로가 정해져 있으니까요.
![]()
596. 카메라를 배울 때 렌즈 조리개값이 f1.4/2/2.8/4/5.6/8/11/16/22/32 이렇게 올라가는 것을 보고 무슨 규칙이 있나 다들 궁금해하곤 하죠. 2/4/8/16/32/64/128/256/512/102
4 의 루트값 근사치입니다.
![]()
597. 필름 사진이 사진의 기준이던 시절, 필름을 현상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빛이 단절된 암실(Darkroom)이 필요했습니다. 디지털 사진의 시대가 열린 뒤 생긴 대표적인 후보정 소프트웨어 이름이 라이트룸(Lightroom)인 건 재미있는 대비죠.
![]()
598. '깨진 유리창 이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건물의 유리창이 깨져 있는 걸 방치하면 이 건물은 누구도 관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져 다른 창문도 깨지고 나중엔 건물에 침입해 강력범죄를 저지르는 자도 나오게 된다는 것이지요.
![]()
599. 강력 범죄를 막기 위해 사소한 '깨진 유리창'을 없애야 한다는 이론은 많은 지지를 받았고 1990년대 미국 뉴욕에서, 2000년대에 일본 삿포로에서 실제 치안 행정에 활용된 적도 있습니다. 성과도 많았지만 이 이론에 대한 반론도 만만찮죠.
![]()
![]()
![]()
600. '스카이라인'이란 하늘과 땅의 경계선을 뜻하지만 현재는 대도시의 초고층 빌딩이 하늘을 배경으로 나타내는 윤곽선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시간호수에서 바라보는 시카고의 스카이라인처럼 스카이라인이 도시의 상징이 되는 경우도 많죠.
![]()
지난 기사 |
추천
[정치]본격 고향 인물 자랑 : 김학철 도의원을 큰 물로 보내자! 빵꾼추천
[뽕빨이너뷰] 팟빵 김동희 대표를 만나다 下 안알남추천
[Q&A]태양에너지 9문 9답 : 태양열, 태양광 에너지? 어떻게 쓸 수 있나 에너지전환추천
[뽕빨이너뷰] 팟빵 김동희 대표를 만나다 上 안알남추천
[탐험]저는 은행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2: 무기계약직의 장단점 기타루맨추천
[한동원의 적정관람료]군함도 한동원추천
[문화]82년생 김지영의 동생 87년생 김민수 근육병아리추천
[명문비평]카이스트 이병태 교수를 건들면 누구든 아주 ㅈ되는 거야 cocoa추천
[탐험]저는 은행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1: 무기계약직과 사무직군의 세계 기타루맨추천
[내부자]나는 쿠팡과 작별했다 킬리만자로의삵추천
[한동원의 적정관람료]택시운전사 한동원검색어 제한 안내
입력하신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는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딴지 내 게시판은 아래 법령 및 내부 규정에 따라 검색기능을 제한하고 있어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전기통신사업법 제 22조의 5제1항에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삭제, 접속차단 등 유통 방지에 필요한 조치가 취해집니다.
2.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청소년성처벌법 제11조에 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아동·청소년이용 음란물을 제작·배포 소지한 자는 법적인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에 따라 청소년 보호 조치를 취합니다.
5. 저작권법 제103조에 따라 권리주장자의 요구가 있을 시 복제·전송의 중단 조치가 취해집니다.
6. 내부 규정에 따라 제한 조치를 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