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한 군주가 공적을 세우고 이름을 떨치는 방법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째는 하늘의 때(天時)이고, 둘째는 백성의 마음(人心)이며, 셋째는 기술과 능력(技能)이고, 넷째는 권세와 지위(勢位)이다.- 한비 지음, 김원중 옮김, <한비자>, '공적과 명성', p.258
응? <군주론>이라더니 왜 <한비자>가 갑자기 툭 튀어나오는지 의아하시리라. 거의 2000여 년에 가까운 시간적 터울, 이탈리아와 중국이라는 멀고도 먼 공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어쩌면 <한비자>가 실크로드를 타고 마키아벨리의 손에 들어갔던 건 아닐까라는 호기심이 들 정도로 <군주론>을 이보다 더 잘 요약할 수는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능력이 딸려서 한비가 살았던 전국시대를 자세히 이야기할 수는 없다. 다만 BC 770년부터 403년까지 거의 200년 간 전란기였다는 점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시대명에 전쟁이 꽉 박힌 무질서의 대명사나 다름없다는 것도 잘 아실 듯 싶고. 마키아벨리가 살았던 당시의 이탈리아도 이와 비슷했다. 그럼 그가 어떠한 시절을 살았는지 살짝만 들여다 보자.
<마키아벨리, 1469~1527>
국가를 획득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은 주로 그 나라의 건설과 보전을 위하여 강제적으로 도입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새로운 법률과 제도에서 생겨난다. 지도자로서 새로운 통치 방법을 시행하려고 시도하는 것보다 실행에 있어서 위험하고 어려우며 성공이 의심스러운 것은 없다. 왜냐하면 개혁을 단행하는 이는 낡은 질서하에서 혜택을 입어온 모든 사람들을 그의 적으로 삼아야 하고, 또한 새로운 제도하에서 혜택을 입게 될 사람들도 다만 소극적인 지지자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극적인 기질은 한편으로는 그들에게 유리한 법률을 갖고 있는 반대자들의 공포심과 한편으로는 체험의 결과에 의하여 확인될 때까지 새로운 것의 가치를 결코 인정하지 않으려는 인간의 의심에서 생겨난다.어쨌든 변화에 적의를 가진 자들은 공격을 가할 때는 언제나 당파적 열정을 갖고 달려들지만, 반면에 상대방은 그들 자신과 그들의 주장이 위험에 빠질 만큼 미약한 방어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 관한 분명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 개혁자들이 자신의 힘으로 추진하고 있는가, 아니면 제3자의 지원에 의지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그들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남에게 간원해야 하는지, 아니면 자신의 힘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항상 실패하며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자기 자신의 기략에 의지하여 힘을 사용할 때는 거의 실패하지 않는다. 그러기에 무장한 모든 예언자는 승리하고, 무장하지 않은 모든 예언자는 멸망하게 되는 것이다.- 마키아벨리 지음, 이상두 옮김, <군주론>, '제6장 무력과 역량으로 획득한 새 군주국', 범우사, p.38-39
이 때 20대 후반으로 막 공직에 나서려던 마키아벨리의 고향, 피렌체에도 전운이 감돌게 된다. 황금기를 이끌었던 로렌초 데 메디치가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받은 피에로 데 메디치는 어떻게든 중립을 유지하려 노력했으나, 피렌체 공화국에게도, 그 자신에게도, 강대국과 협상테이블에 앉을 수 있을 만한 실력이 없었다는 게 문제. 거의 무조건 항복에 가까운 조약을 맺고 돌아온 피에로는 공화제 혁명과 메디치 가문의 추방이라는 비싼 대가를 치러야만 했다.
귀족의 지지를 받고 군주가 된 자는 민중의 지지로 군주가 된 자보다 자신을 보전하는 데 훨씬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왜냐하면 귀족의 지지로 군주가 된 자는 그 주위에 군주와 대등하다고 생각하는 동료가 많으며, 이 때문에 그는 자기 뜻대로 지배하거나 통치할 수 없다. 그러나 민중의 지지를 받고 군주가 된 사람은 자유로우며, 그 주위에 복종하려 하지 않는 이는 전혀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매우 적다. 더욱이 귀족들의 요구는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 없이 군주의 명예만을 가지고 귀족들을 만족시킬 수 없지만, 똑같은 방법으로 민중들은 만족시킬 수 있다. 민중의 목적은 귀족의 그것보다 훨씬 소박한 것이며, 귀족은 억압을 추구하는 반면에 민중은 억압당하지 않으려고 한다.- '제9장 시민형 군주국', p.59
이제 슬슬 왜 한비의 인용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는지 감이 오시리라 믿겠다. 한비나 마키아벨리나, 어떻게 권위를 얻고 사용할 수 있는지가 주된 관심사였다. 권위란 입고 있는 옷만으로는 얻거나 유지할 수 없으며, 그 권위를 어떻게 사용하느냐, 또 그럴 만한 실력이 있느냐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다만 한비의 경우 해답을 법에서 찾았던 반면, 마키아벨리의 경우에는 민중에 주목했다는 데에서 차이를 보인다.
민중은 그들의 지지로 군주가 된 이보다도 그들을 보호해주는 군주에게 더 많은 호감을 갖게 된다.- '제9장 시민형 군주국', p.60(즉) 용병에 대한 가장 큰 위험은 그들의 우둔함과 비겁함이며, 원병(외국군)의 경우는 그 용감성이다. 그러므로 현명한 군주는 항상 이러한 군대를 피하고 자기 나라 군대를 신뢰하며, 그리고 외국 원병에 의한 승리보다 자국 군대에 의한 패배를 택한다. 외국의 지원에 의한 승리는 참다운 승리가 아니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제13장 원병과 혼성군과 국민군', p.81(그러므로) 군주가 그의 민중을 착취하지 않고 자신을 지킬 수 있으며, 재정의 빈곤과 멸시를 피하고 또 약탈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인색하다는 비난에 대해 개의치 말하야 한다. 왜냐하면 이 인색은 그의 나라를 보전하기 위해 그가 취할 수 있는 악덕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제16장 관대함과 인색함', p.92(그러므로) 군주가 가질 수 있는 최상의 성채는 민중들의 증오를 사지 않는 것이다. 만일 군주가 성채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민중들로부터 증오를 받게 되면 성채는 아무런 쓸모가 없을 것이다.- '제20장 군주가 가질 수 있는 최상의 성채', p.123
마지막 인용은 왠지 모르게 벙커에 들어가셨던 어떤 분이 떠오르기도 하고, 좀 설명이 필요하겠다. 우선 마키아벨리는 어떻게 권력을 획득하는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문제삼지 않았다. 세습이든, 힘이나 음모로든, 정복으로든, 민중의 지지로든, 과정보다는 결과에서 더욱 정당성을 찾았다. 저 위의 인용에서처럼 필요하다면 강압적으로 밀어부쳐야 한다고 하기도 하고, 이런 이유들로 인해 마키아벨리에게는 독재자 예찬이라는 비판과 과연 목적을 위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닌다. 물론 온당한 비판이고 이에 대해 옹호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마키아벨리는 당면한 현재라는 관점에 집중하고자 했으며, 어떤 사회에서든 권위는 존재하기 마련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그가 살았던 시대 역시 민중에게 아무런 발언권도 허용하지 않았을뿐더러, 절차적 민주주의 같은 개념도 없었다는 정도만 덧붙여둘 수 있겠다.
측근 대신을 선택하는 일은 군주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다. 그들은 군주의 사려분별에 따라 좋게 되고 나쁘게도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군주의 품성과 현명함을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그 군주의 측근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 된다. 측근들이 유능하고 성실하면 우리는 항상 그 군주는 현명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측근들의 능력을 인식할 줄 알고 그들의 충성을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그 반대라고 하면 우리는 그 군주에 대해 좋은 평가를 내릴 수 없다. 그 이유는 그 군주의 첫 번째 실수는 잘못된 인선에 있기 때문이다.- '제22장 군주의 측근대신', p.130(그러므로) 진실을 고할지라도 군주가 화내지 않는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이외에는 아첨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없다.- '제23장 아첨배들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p.132그(신성로마제국의 막시밀리안 1세; 1459~1519)는 은밀한 성격의 소유자여서 어느 누구에게도 자기의 주장을 피력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의견도 묻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의 계획이 실행 단계가 되어서야 노출되고 알려지게 되며 동시에 측근들은 그 계획을 반대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군주는 계획을 간단히 철회하고 만다. 그리하여 오늘 행한 것을 다음날에는 취소하기 때문에 그의 희망과 계획을 완전히 확인할 수는 결코 없다. 따라서 그의 결정을 신뢰하는 일은 불가능하게 된다.- '제23장 아첨배들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p.133(그러므로) 군주가 어떤 일을 싫어한다는 것을 보이면 신하들은 작은 일이라도 군주가 싫어하는 일이라면 감추고, 군주가 어떤 것을 좋아한다는 것을 보이면 신하들은 가능한 것처럼 꾸미며, 군주가 하고자 하는 일이 드러나면 신하들은 이것에 맞추려고 한다.- <한비자>, '두 개의 칼자루', 홍익출판사, p.61신하는 자주 세금을 걷고 국고의 재물을 전부 사용해 자신의 나라를 텅텅 비게 하면서까지 큰 나라를 섬기고, 그 큰 나라의 위세를 이용해 자신의 군주를 협박한다. 심하게는 큰 나라의 군대를 변방에 모이게 해 민심을 공포 속에 몰아 넣기도 하고, 약하게는 큰 나라의 사신을 자주 맞아들여 군주의 마음을 혼란과 두려움에 떨게 만든다.신하들이 외세를 등에 업고 나라 안의 실권을 좌우하면 군주는 나라를 잃은 것이다. 군주가 큰 나라의 요구를 들어주는 것은 멸망을 피하기 위해서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거절하는 것이 나라를 구하는 길이 되기도 하므로 들어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여덟 가지 간사한 행동', p.66-67군주의 통치수단은 신하들이 반드시 자신이 한 말을 책임지게 하며, 또 의견을 말하지 않은 책임도 묻는 것이다. 의견을 내면서 말의 시작과 끝이 없고 사실에 대한 확증도 없다면, 이 발언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해야 한다. 한편 책임을 두려워해 진언도 않고 중요한 직위를 차지하고 있다면, 발언하지 않은 데에 대한 책임도 지게 해야 한다.- '군주', p.147
한번 비교해 보시라고 함께 인용 쏘아드렸다. 두 사람 모두 관대해지기보다는 인색해지고, 인자하기보다는 잔인해지기를 권한다. 그렇다고 밑도 끝도 없이 사람들을 들들 볶으라는 말은 아니고, 평판이나 세력,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적인 친분에 휘둘리지 말라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다. 간단히 말하자면 다른 사람의 말도 들어보라는 것. 실제로 '너님 혼자서 모든 걸 할 수는 없음'이라는 경고가 계속해서 나오기도 한다.
한비와 마키아벨리
씨바, 별 이야기도 아닌데 왠지 충격적이다. 다만 한비가 법을 통해 상벌을 엄격하게, 그러니까 더 주지도 말고 봐주지도 말고에 초점을 둔다면, 마키아벨리의 경우에는 이를 관철시킬 수 있을 만한 힘, 오늘날로 말하자면 공권력에 더욱 주의를 기울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래서 시민군의 필요성에 대해 논한 것이기도 하고. 비록 대포가 막 전장에 등장한 당시의 군사적·경제적 여건으로는 실현가능성이 희박했지만, 기사와 용병이 통용되던 세상에서 혁신적인 발상이기는 했다.
이탈리아인에게 되돌아갑시다. 이탈리아인은 현명한 군주가 없었기 때문에 어떤 좋은 제도로 받아들이지 못했고, 스페인인이 느꼈던 필요성도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스스로 어떤 것도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나머지 세계의 나라들로부터 비웃음을 샀습니다. 비난받아야 할 사람은 국민이 아니라, 그들의 무지로 인하여 자신의 국가를 불명예스럽게 잃은 데 대한 적당한 처벌을 받았고 단 하나의 존경받을 만한 행동도 보이지 못한 군주들입니다. (But let us turn to the Italians, who, because they have not wise Princes, have not produced any good army; and because they did not have the necessity that the Spaniards had, have not undertaken it by themselves, so that they remain the shame of the world. And the people are not to blame, but their Princes are, who have been castigated, and by their ignorance have received a just punishment, ignominously losing the State, (and) without any show of virtu. : 이번에도 문맥이 이상해서 아쉬우나마 영역을 첨부. “비난받아야 할 사람은 국민이 아니라, 그들의 무지로 인하여 응당한 처분을 받은, 나라를 불명예스럽게 잃어버렸을 뿐만 아니라 단 하나의 존경받을 만한 행동도 보이지 못한 군주들입니다.”로 번역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군주론>, '전술론 초', p.188 / The Seven Books on the Art of War, by Niccolo Machiavelli, Citizen and Secretary of Florence, trans. Henry Neville (1675).
onesixth
편집 : 보리삼촌
검색어 제한 안내
입력하신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는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딴지 내 게시판은 아래 법령 및 내부 규정에 따라 검색기능을 제한하고 있어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전기통신사업법 제 22조의 5제1항에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삭제, 접속차단 등 유통 방지에 필요한 조치가 취해집니다.
2.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청소년성처벌법 제11조에 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아동·청소년이용 음란물을 제작·배포 소지한 자는 법적인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에 따라 청소년 보호 조치를 취합니다.
5. 저작권법 제103조에 따라 권리주장자의 요구가 있을 시 복제·전송의 중단 조치가 취해집니다.
6. 내부 규정에 따라 제한 조치를 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