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04. 29. 수요일
Samuel Seong
1. 뉴욕타임즈의 기사
재난이 벌어졌을 때 저널리스트가 재난을 만드는 것은 작년 세월호에서도 이미 충분히 겪었던 일이다. 뭐, 딴지도 실수 했었고. 이번 재난이라고 이런 일이 안 벌어질까 했는데 다행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외신 기사에서도 틀린 대목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프레시안>에서 '네팔 대지진 참사, 진짜 원인은?'라는 제목으로 <뉴욕타임즈>의 분석 기사를 다뤘다. 우선 사실과는 다른 몇 가지 내용들을 집어봐야겠다.
(출처- 프레시안)
사실관계를 확인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뉴욕타임즈: “인구 2700만 명의 이 나라는 대지진 훨씬 전부터 정치, 경제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였다”면서 “대지진은 수십 년간 전쟁과 정치적 기능이 마비된 이 나라의 상처를 치유하려는 노력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사실: 네팔은 2006년 4월 왕정타도 이후 1차 제헌의회 선거를 2008년 5월에 했다. 그런데 정권을 잡았던 마오바디당(United Communist Party of Nepal - Maoist. UCPN-Maoist)이 졸라 삽질만 하다가 개혁하라는 것은 하나도 못하고 자멸했다. 헌법도 못 만들고 시간만 끌고 있자 네팔 대법원은 행정명령을 가동해서 헌법 제정 마감시간을 정해줬고, 이렇게 나오니까 대법원장이 암살되었다.
그 후 내각 해산 상태에서 ‘바버람 버터라이’ 수상이 이끄는 선거내각이 2013년 11월의 2차 제헌의회 선거를 국제기구 감시 하에 치렀고, 2차 제헌의회는 네팔 국민회의(Nepalses Congress)와 공산당(CPN-UML) 연정이 여당이 되었다. 지금까지 가장 큰 문제는 연방 국가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인종적, 부족적, 카스트 등으로 분리하게 할 것인가 말 것인 가였는데... 이번 달에 개략적인 합의를 한 상태였다.
무엇보다 각 정당은 이번 재앙이 터지자 정당 당비에서 국민성금으로 400,000 NRS, 한화 425만 원 정도의 성금을 내놓고 모든 청년당원들을 복구현장에 투입했다.
현장 구호활동에 허점도 드러나고 있긴 하나 정치, 경제적으로 낙후된 상황을 딛고 수십 년간 전쟁을 한 이들이 재앙에 함께 맞서고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있겠다.
뉴욕타임즈 :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수실 코이랄라’ 네팔 총리는 지병인 암의 경과를 점검하기 위해 국외로 나가있었다는 것은 네팔정부의 무기력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고 꼬집기도 했다.
사실 : 네팔 수상 수실 코일랄라는 자카르타의 반둥회의 60주년 행사 참석 중이었다. 즉각 돌아가지 못했던 것은 네팔 항공이 2대(3대?)의 비행기로 국제선을 돌리는 참 단촐한 시스템인지라 수상 전용기로 날아갔다가 바로 민항을 뛰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비행기 사정으로 국내로 바로 돌아오지 못한 것이다. (연합뉴스 기사 : 코이랄라 총리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반둥회의 참석 후 지진 소식을 듣고 급거 귀국을 시도했으나 카트만두 국제공항 폐쇄로 인해 항공편이 취소되는 바람에 방콕을 경유해 귀국했다.)
뉴욕타임즈 : 건설업에 종사하는 사업가로 지진으로 큰 부상을 당한 ‘아추트라이 수베디’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네팔의 주택과 건물은 기둥도 없고, 철근도 쓰지 않은 콘크리트, 그것도 매우 묽은 콘크리트로 지어졌다”고 말했다.
사실 : 사실 네팔의 구조물들의 상당수가 벽돌조의 뼈대에 목조 지붕을 얹은 형태다. 하지만 아래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모두 그런 것만은 아니다.
본지도 관심법으로 기사 쓰는 경우 많은데, 참사의 한복판에서 현장 상황을 전달하는 필자의 입장에서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싶었다.
2. 텔레포팅?
남들보다 훨씬 일찍 들어오신 한국 기자 분이 있다고 한다. 논란 다 치우고 요즘 어떤지 설명만 간단하게 하겠다.
어제 타이항공은 재난 지역으로 들어오는 비행기에 누가 타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각국에서 들어오는 여러 국제 구호기관 종사자들, 각 국의 구조대, 그리고 종군기자 느낌의 취재진에 이르기까지. 그런데 지금 트리듀번 공항에 꽤 많은 이들이 정상 출근을 못하고 있는 상태다. 짐 내리는 팀, 비행기 한 대당 2명이 배정되어서 돌아간다. 평소에도 승객과 짐이 다 내려서 입국장을 나서는데 한 시간 반은 걸리는데 지금은 그 몇 곱절이 걸린다.
거기다 25일과 26일 트리듀번 공항은 비상 체제로 가동되었다. 25일 6시30분에 인도에서 출발한 구조대 선발팀을 태운 특별기가 도착하기 전까지, 착륙했던 항공기들만 이륙할 수 있었고 날아오던 비행기들은 모두 회항 조치된 상태였다.
거기다 트리듀번 국제공항, 원래 아수라장이다. 환전소는 세관과 입국장 사이에 하나 있는데 잘 안 열어놓는다. 그런데 환전을 해서 그 아수라장에서 택시를 타고 호텔도 잘 찾아가시고 인터뷰도 했다는 기자 분 이야길 들었다. 마구 존경심이 올라온다. 내가 네팔을 왔다 갔다 한 게 9년째임에도 공항에서 황당한 일은 한 두 번씩 벌어지는데 이 난리 중에 무사히 입국하셔서 기사 송고까지 하다니. 진정 기자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는 분이다. 그런 테크닉, 공유만 해주셔도 감읍할 것 같다.
3. 어떻게 지내냐는 이야기가 하도 많아서
어제까지 이런 간이 천막에서 잤다. 특히 지진 2일차였던 26일 저녁엔 자는데 폭우가 내렸고 남자라고 가에 자고 있던 나는 비를 맞으면서 잤다.
이 천막의 내부는 이렇다.
이렇게 서로 껴안고 자야 새벽의 찬이슬을 견딘다. 내진의 공포 때문에 어제까지도 이렇게 밖에서 잤다. 이재민 생활이 이렇지 뭐.
그래도 오늘 아침부터는 따뜻한 밥 먹고 있다.
오후부터는 복구현장들을 좀 찾아볼 예정이다.
이미 복구공사들이 대부분 시작됐다. 지진으로 길이 가장 많이 갈라졌던 링로드의 공항 부근도 보수에 들어갔으니 이 재앙에 맨몸으로 맞서는 네팔인들을 많이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국제부 Samuel Seong
트위터: @ravenclaw69
편집: 딴지일보 챙타쿠
추천
[국제]네팔지진 - 그들에겐 한낱 자극적인 기사 하나겠지만 SamuelSeong추천
[스포츠]인류역사상 가장 비싼 다이다이 : 파퀴아오 vs 메이웨더 챙타쿠추천
[국제]실시간 르포: 지진 6일차, 여기는 네팔 카트만두 SamuelSeong추천
» [국제]네팔 지진사태 보도에 할 말이 좀 있다 SamuelSeong추천
[정치]성완종 사면권 물타기, 레임덕으로 가는 지름길 벨테브레추천
[국제]네팔 7.9지진 - 현지 특파원의 생생보고(28일 오후 1시 45분 추가) SamuelSeong추천
[경제]4대강 사업에 스며 있는 부자의 꿈 도비공검색어 제한 안내
입력하신 검색어는 검색이 금지된 단어입니다.
딴지 내 게시판은 아래 법령 및 내부 규정에 따라 검색기능을 제한하고 있어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전기통신사업법 제 22조의 5제1항에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삭제, 접속차단 등 유통 방지에 필요한 조치가 취해집니다.
2.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청소년성처벌법 제11조에 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아동·청소년이용 음란물을 제작·배포 소지한 자는 법적인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에 따라 청소년 보호 조치를 취합니다.
5. 저작권법 제103조에 따라 권리주장자의 요구가 있을 시 복제·전송의 중단 조치가 취해집니다.
6. 내부 규정에 따라 제한 조치를 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