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과 정리] 인투 더 텍노 8 2001.12.24.월요일
흔히 레이버들 가라사대 하드하우스 레이브의 3요소는 LSD라고 한다.
기억속에서 가물가물하는 그 옛날 써커스, 기억나시는가? 불과 이십여년 전까지만 해도 써커스 천막안에선 음악을 연주하던 악단과 관중들의 눈을 사로잡던 마술사와 곡예사들을 보는게 그리 어렵지 않았다는 사실... 21세기에 들어선 지금, 레이브가 바로 그런 역할을 하고 있는 거다. 물론 선봉이 되는 건 디제이다. 몽환적이거나 기분좋게 사람을 들었다 놨다 하는 음악을 들려줌은 물론이고, 화려한 디제잉 테크닉과 카리스마 넘치는 무대매너로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기 때문이다. 그 자리에 모인 하우스 레이버들은 분위기의 흐름에 따라 디제이의 음악을 듣고 즐기는 단순한 관객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바람잡이 광대가, 또는 횃불 돌리는 차력사(야광봉 알제?)가 되기도 한다.
허나 기본적으로 서커스 관객들처럼 자리에 앉아서 박수치며 즐기는게 아니라 음악에 맞춰 휘파람도 불고, 온 몸으로 호응하면서 즐기는 방법을 춤으로 나타낸다는게 결정적으로 다른점이 되것다. 자신도 즐기면서 남들도 즐겁게 해주는 이 정신이 바로 PLUR 라 할 수 있는거다. 같은 음악을 들으며 같은 감정을 느끼면서 서로 배려하면서 모든 레이버들과 즐거움을 나누는게 레이브의 가장 큰 재미인 것이다.
이런 하드하우스 음악에서 무슨 사랑이 떠나갔네 어쩌네 하는 내용이나 홍도야 우지마라 오빠는 간다 식의 울고짜는 내용이 존재할수 없는 건 당연하다. 오로지 첨부터 끝까지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 스피릿이기 때문에 어떤 이들은 brainless music (무뇌음악) 이라고 무시하기도 하지만, 때와 장소에 맞는 음악이 따로 존재하듯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신나게 즐기는 목적이라면 이를 능가할 음악은 거의 엄따고 보면 된다. 이러한 측면으로 본다면 전에 언급되었던 트랜스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아 보이지만 다시금 정리해본다면 하드하우스는 트랜스+테크노+하우스의 혼합체라고 할 수 있다.
Cowboy, Zoom, Noom, Harthouse 등의 레이블들과 Billy Nasty, Clive Henry, Craig Walsh등의 디제이들이 하드하우스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전해진다.
"음... Y2K나 문희준씨가 락을 한다지만 제대로 된 락이라고 인정하
2001년 현재의 하드하우스는 트랜스에 대한 퓨전 스타일, 또는 펑키 그루브를 살린 새로운 스타일 (복고풍 쏘울, 펑크등을 샘플로 직접 사용하는 언밸런스한 스타일) 등을 시도하며 계속 진화하는 장르이다. 위에 언급했던 LSD 외에 레이버들 대부분이 Fast, Hard, Young 이라는 3단어로 하드하우스를 정의할 정도로 젊은 레이버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초기에 하드하우스의 기틀을 잡은 개척자로는 Tony De Vit 을 꼽을수 있다. 1998년 급성 기관지 폐렴으로 사망한 DJ 겸 프로듀서인 이 아저씨는 현재까지도 하드하우스의 전설로 불리운다.
트레이드(Trade) 라는 최초의 하드하우스 레이브 파티와 영국 BBC radio essential mix 를 통해 하드하우스를 영국내 메이저 레이브씬으로 자리잡게한 일등공신이 이 양반이다. 현재 그 명맥을 이어가는 일류 DJ 들로는 Andy Farley, BK, Nick Sentience, 그리고 Lisa Lashes 가 있다. 현재 이들은 영국뿐 아니라 전세계를 돌면서 최고의 대우를받는 초일류 디제이들이다. 이들 또한 트랜스 DJ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판만 돌리는 디제이가 아니란건 다들 눈치 채셨을것이다. 현대의 디제잉은 퍼포먼스와 개인기 모두를 소화해야 명 DJ의 반열에 든다. 이 땅의 DJ 지망생분들 거울보고 열라 연습 마니 하시라. 갈길이 멀구나.
2000년 3월부터 발매를 시작한 hard house anthem 씨리즈는 말그대로 하드하우스 매니아들의 필청 컴필레이션 CD가 되면서 nukleuz의 대중적인 입지도 확고히 만들어 주었다. 거기다가 Hard house anthem vol.3 은 2000년 mixmag 과 ministry 잡지가 선정한 2000년 best compilation album으로 뽑혔다. 뿐만 아니라 2001년 3월에는 Music Week 가 선정하는 베스트 댄스 레이블에서 Positiva 에 이어 두번째로 큰 레이블로 선정되기도 한 훌륭한 레이블이다. 최대 규모의 레이블답게 꽉찬 tune 과 고급스러운 사운드, 최고의 믹스를 구사하는 Nukluez. 소속된 수십명의 디제이들 전부 초일류 선수로 구성되어 있음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하우스의 정통성으로부터 시작된 Nukleuz와는 달리 하드하우스로 시작해서 100% 하드하우스를 표방하는 전문 레이블이 바로 이넘 되겠다. 디제이,프로듀서 겸 레이블의 사장인 the tidy boys (Andy pickles 와 Amadeus Mozart, 이름 졸라 머찌지않냐) 의 말을 빌리자면 "hard but funky" 를 추구하는 레이블이란다.
말 그대로 실험적인 시도도 많이 하고 깨끗하고 세련된 사운드를 구사하는 것이 이 레이블의 특징이다. 특이하게도 레이블내에 tidy girls, untidy trax 라는 장난스러운 이름의 산하 레이블들이 따로 존재하는데 특히 tidy girls 의 Lisa Lashes, Lisa pin-up, Rachel Auburn, Ann Savage 등은 남자 못지않은 박력있는 디제잉과 여성특유의 섬세하고 깔끔한 믹스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남성 레이버들은 이 머찐 여자 DJ만 나오면 올가즘 2000배의 경험은 한다나 우쨋다나…
맨날 기사보면서 상상만하고 집에서 듣는 것보다 이제 슬슬 운동화끈 동여매고 나가야할 시점이 되지 않았다 싶다. 굳이 외국에 나가지 않더라도 울나라에서도 연중 몇번씩은 큰 규모의 레이브 파티가 열린다고 하니까 골라 가보는 경험도 하시길 빈다. 그럴 시간도 없는 독자제위께선 주말에 클럽 스마일같은데 가셔서 DJ rainy의 하드하우스 스핀을 맛보시고 즐겨보길 적극 권하는 바이다. 그럼 오늘도 맛배기로 스트레이트로 땡겨 보자스라... 초강력 하드하우스는 차후에 즐기시고 먼저 귀에 크게 거슬리지 않는 버전으로 준비했으니 맛있게 냠냠 잘들 하시길 빌며 담회에서 뵙자. (음악듣기) Hoover - Buzz Live the life you love, love the life you live!! 딴따라딴지 부설 뉴질랜드 딴따라 사업부 |
검색어 제한 안내
입력하신 검색어는 검색이 금지된 단어입니다.
저작권보호 혹은 청소년보호에 의해 검색보호조치 및 내부규정에 따라 검색 제한을 진행하고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아동·청소년이용 음란물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제11조에 따라 법적인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