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야마구치구미 3대 째 쿠미쵸로 취임한 타오카 카즈오. 그는 조직을 이끄는 기본 방침으로 “조직원 한 사람 한 사람이 생업을 가질 것”을 내세운다. 그리고 전쟁 직후 혼란 가운데 야쿠자가 되는 이가 격증하자 조직 차원에서도 노름판 자릿세나 요진보(用心棒, 경호원)값 등 도박꾼 야쿠자에 있어서는 핵심적 일 외에 먹고 살 “업”을 모색한다. 최종적으로 그가 선택한 “조직의 생업”은 원점회귀, 즉 항만 하역업과 연예・흥행업이었다. 

 

그러나 전시체제가 일본의 온갖 시스템을 바꿔버렸다. 새로 출범한 3대 째 야마구치구미는 수년 전까지 만해도 내 마당이었지만 이제는 완전히 달라진, 새로운 천지에 뛰어들어간다. 

 

 

1. 야쿠자의 시노기에 정부가 들어오다

 

2차대전, 군수물자 수송의 필요성과 전시경제 통제라는 관점에서 일본의 급무는 '해상 수송력의 최고도 발휘'였다. 오로지 전쟁 수행을 위한 체제를 구축하는데 있어, 종전부터 항만 노동의 기조를 이루었던 오야카타-꼬가타(親方-子方, 우두머리-부하)제도는 크게 효율적이지 않았다. 대중(對中)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일본 정부는 국가의 인적・물적 자원을 자유로이 통제・운용하여 총력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국가총동원체제(国家総動員体制)에 돌입하였고, 그 파동은 항만 노동의 세계에도 미쳤다. 

 

운송업.jpg

 

1941년 6월 '항만운송업등통제령(港湾運送等統制令)'이 시행되었다. 해상 운송에 부수한 온갖 업종의 영업이 허가제로 이행된 것이다. 법령에는 허가만 있으면 영업을 할 수 있다고 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부문(업종)마다 한 회사만이 허가를 받았다. 이른 바 “일항일사(一港一社)”체제다.

 

야마구치구미가 본거지를 둔 코베에도 해당되었다. 하주(荷主, 선박의 실린 짐의 주인)나 해운회사로부터 하도급받는 원청・연암하역 부문은 코베항만작업 주식회사가, 거룻배 운반 부문은 코베항운 주식회사가, 그리고 선내 하역 부문은 코베선박하역 주식회사가 각각 허가를 받아 영업하게 되었다. 

 

이에 더해 일용 노동자를 관리・통제하는 일을 주종목으로 한 야마구치구미에 있어 불리한 정부방침이 현실화된다. 1938년에 들어 국가총동원체제에 돌입함으로써 “산업보국(産業報国, 산업으로 나라에 충성을 다함)”, “노사일체(労使一体, 노사가 같이 뭉침)”라는 슬로건 아래 산업보국연맹(産業報国連盟)이 결성되었고, 거의 모든 노동자와 노동조직이 '산업보국회(産業報国会)'라는 전쟁 협력 노동조직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노동조합을 꾸릴 수 있을 만한 근대적 노사 관계가 있는 업종이나 사업소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토건업이나 항만하역업과 같이 일용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업종에는 해당되지 않았다.

 

그러다 대미전쟁이 시작된 지 얼마 안 된 1942년 9월, 정부는 노무보국회설립요강(労務報国会設立要綱)을 작성하여 각 지자체에 노무보국회를 꾸리도록 명한다. 이에 따라 일용 노동자나 그들을 모집・공급・관리하는 업체 등이 모조리 노무보국회로 편입되었다. 

 

야마구치구미가 나카시(항만 노동자) 공급업체로 살아남을 길이 사라진 것이다. 

 

물론 항만 하역업의 성질도 있고, 당시 기계의 수준도 있어서 노동 현장에서는 아직 오야카타-꼬가타(우두머리-부하)관계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므로 “일항 일사”체제의 실시나 노무보국회의 설립은, 오야카타-꼬가타 시스템이 야마구치구미 같은 민간조직이 아닌 정부에 의한 관리를 받게 됐다는 것을 뜻한다. 항구의 하층 노동자 통솔자로서의 야마구치구미는 그 기능을 발휘할 터를 잃어버렸다는 뜻이다. 

 

코베는 1945년 3월 17일, 5월 11일 그리고 6월 5일, 세 차례에 걸쳐 폭격을 당하며 항만 기능도 멈추어 버린 채 8월 15일을 맞이한다. 

 

 

2. GHQ의 점령 정책과 코베 항만 하역업

 

1945-+1.jpg

 

2차대전 이후 코베항에 있는 시설의 대부분은 점령군에 의해 접수(接収)되었고, 미군의 군사 물자가 오가게 되었다. 1946년 9월에는 “일항일사”체제의 근거가 되던 '항만운송업등통제령'이 실효되면서 항만 하역업은 자유로운 경쟁에 놓인다. GHQ가 내세운 “경제민주화” 정책도 있어 항만 하역업계에서의 경쟁엔 박차가 가해졌다. 

 

이에 앞선 7월. GHQ는 항만 운송업에 남아 있는 전근대적 노동관계를 청산 내지 해체하는 방침을 내세웠다. 요점은 두 가지다. 

 

“노동 보스(Labor Boss)의 발생은 절대 배제할 것”

“노동자는 사업자와 직접 고용관계를 맺게 하며 중간자를 배제할 것”

 

여기서 “노동 보스”는 오야카타-꼬가타(우두머리-부하)에서 '오야카타'를, “중간자”는 야마구치구미 같은 일용직 하층 노동자를 통괄하는 조직을 가리키는 듯 하다.

 

GHQ의 방침이 구체적으로 입법화된 것이 같은 해 11월. 직업안정법에 노동자공급사업(줄여서 “노공”)을 금지하는 규정이 담겨졌고, 그날그날 필요한 일용직 노동자를 모집하여 현장에 보내는 일은 할 수 없게 되었다. 항만 하역회사들은 자체적으로 노동자를 정규직 사원으로 고용해야 했다.

 

게다가 GHQ는 독점금지법(재벌을 비롯한 독점 기업들의 시장 지배를 배제하는 목적)을 시행한 다음 해인 1948년, 컨퍼런스 메모(Conference Memo)를 발부하여 항만 운송업에서 독점적 기업을 해체시키고 "노동 보스"를 업계에서 배제하도록 압박을 가하였다. 즉 항만 하역은 당시 "스테베"로 불리던 원청 하역업자(Stevedore)가 직접 영위하도록 하고, 임시적으로 노동자의 고용할 때는 공공 직업안정소를 통해서 하도록 한 것이다. 한마디로 노무에 관한 하청계약이 금지된 셈. 

 

GHQ가 이만큼이나 강경한 태도를 계속 취하던 배경에는 미국의 역사적 경험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부터 30년대에 걸쳐 미국 맨해튼, 브루클린 등지의 항만에서 '갱'이라고 불리는 폭력 조직이 화물 운송업을 장악하여 항만을 지배하던 적이 있었다.

 

GHQ 눈에는 일본의 "구미(組, 조)"가 자국에서 항만 노동계에 군림하던 갱과 비슷하게 비쳤을지도 모르겠다. 그들에게 "○○구미"라는 이름이 붙은 조직은 전근대적 폭력배 집단처럼, 오야카타는 폭력으로 노동자를 지배하며 노동자들의 임금을 가로채는 존재로 보인 것이다.

 

당시 GHQ 노동과에서 직업안정 정책을 조언했던 에드가 맥보이에 따르면,

 

"일용직 노동자는 '○○구미'라는 노동 보스(Labor Boss)에게 종속하고 있으며 꽤나 강한 통제 하에 있었습니다. '구미'에 소속하는 노동자들은 스스로 직업을 선택하는 자유를 갖지 않고 있었고 구미를 떠날 자유도 없이 강하게 컨트롤 당하고 있었어요. 또 한 가지 나쁜 점은 구미가 노동자에게 전액 지급될 임금의 일부를 가로채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상황을 인식하고 있었다.

 

20171205041801-1.jpeg

 

GHQ는 일본이 가부장제를 의제한 하나의 "가족"이며, 중심에는 천황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때까지 노동 현장을 지배해온 오야카타-꼬가타 관계 역시 그러한 의제적 가족 관계로 본 것이 아닌가 싶다. 그 아날로지는 결코 틀린 것이 아니지만, 문제는 긴 시간을 거쳐 형성된 시스템을 하루이틀에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오만이라 할 수 있겠다. 

 

하여튼 노동 현장의 구조나 관례를 어떻게 하느라 어제오늘 만들어진 이상주의적 모델을 강요한들 쉽게 바꿀 수 없다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다. 야쿠자를 항만에서 배제하려던 GHQ의 시도는 파탄나고, 이에 더하여 GHQ가 이상주의적 진보 노선을 버리는 큰 계기가 생긴다. 이는 동시에 야마구치구미에 있어서는 구사일생의 기회가 된다. 

 

 

3. GHQ 정책의 파탄

 

GHQ가 추진한 '항만 하역업자 간 자유경쟁 추진'과 '일용직 노동자 고용 금지'는 어떠한 결과를 낳았을까. 항만 하역 노동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갑작스런 자유경쟁 도입이 과당 경쟁을 초래하고, 일용직 노동자 고용 금지가 업자들의 경영을 압박했겠다 정도는 상상할 수 있다. 항만 노동 시장의 특성을 감안하면 이러한 상상은 거의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항만 하역업이 하청제(하도급제)로 이뤄졌던 건 항구를 드나드는 화물량이 계절과 시간대에 따라 크게 변동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조금이나마 항만노동자들의 노동∙생활 환경이 향상될 수 있었던 이유는 야마구치구미 같은 항만 노동자 관리∙통제 업체가 항만 노동자를 조직화시켜 해운회사나 하주(화물 주인)에 의한 후려치기를 막았기 때문이다. (이 시리즈 다른 글 참조(링크)).

 

다만 전쟁 후에는 항만 하역업체 간 과당경쟁의 여파를 다 노동자들에게 밀어붙일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던 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2차대전 후 노동기본권이 확립되었고 이에 따라 업계마다 노동조합이 결성되기 시작하였다. 1946년 7월에는 전일본항만노동조합동맹(全日本港湾労働組合同盟)이 설립되었다. 일본 공산당의 지도 아래 산업별 회의에 가맹한 좌파계 조합으로 "항만노동 민주화"가 초래한 모순이 노동자로 옮겨가는 것에 철저히 저항하였다. 

 

결국 GHQ가 추진하려던 항만 민주화는 항만 하역업자 간 과당 경쟁 현상을 가져왔고, 노동자들의 권익은 어느 정도 보호받게 되었으나, 항만 하역업체 자체가 존립하기 어려워졌다. 당연한 귀결로 하역업자들은 하역노동자를 이끄는 오야카타와 암거래를 하여 일용직 노동자로 일을 시킨다. GHQ가 혈안이 되어 배제하려던 "노동 보스"와 "구미"가 부활할 구멍이 뚫린 순간이다. 

 

그러던 1950년 6월, 항구가 다시 "구미"를 불러들이는 결정적 계기가 생긴다. 한국전쟁이 일어남에 따라 미군에게 일본 국내 항구를 병참으로 이용할 필요가 생겼고, GHQ의 이상주의적 항만 민주화 방침은 무산된다. 표면적 깨끗함을 달성하지만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시스템보다는 자기 이념을 위배하는 한이 있어도 기능을 발휘하는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내렸던 모양이다. 

 

 

4. 야마구치구미 부활의 비밀 병기, 오카 키요시(岡精義)

 

타오카 카즈오가 3대째 쿠미쵸로 취임했을 때, 야마다 히사이치(山田久一)가 와카가시라(若頭, 꼬붕 중 필두) 자리에 앉았다는 건 이미 언급했다(링크). 그는 타오카 카즈오가 다이쵸(大長, 일설에는 오오나가) 형제를 습격했을 때에 행동을 같이 했던 만큼 타오카 카즈오와는 '맹우'라고 부를 만한 사이였다. 타오카 카즈오가 "곰"이었다면 그는 "호랑이"였다고 할까. 야마구치구미 무투파(武闘派, 폭력으로 조직에 공헌하는 일단)의 투톱이었다. 

 

오카키.jpg

오카 키요시(岡精義)

 

한편 3대째 쿠미쵸를 물려받은 타오카 카즈오가 한 남자를 직접 꼬붕으로 맞아들인다. 이름은 오카 키요시(岡精義). 17살 때 나카시(항만 노동자)로 일을 시작한 이래 일관되게 항만 하역노동에 종사했으며, 1935년에는 항만 하역을 맡는 하청회사 미야케구미(三宅組)를 설립했다. 전쟁 중에는 군수 물자 운송을 맡았고 동남아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여러 항구에서 군 관련 하역을 지휘하였다. 전후에는 "일항일사"체제 아래 코베항운 주식회사에서 현장 리더로 일을 하다 '미츠토모기업(三友企業)'이라는 항만 하역회사를 설립한다.

 

한 마디로 머리 끝에서 발 끝까지 항만 하역인, 프로 중의 프로다. 젊었을 당시부터 타오카 카즈오와 사귀어 왔고 그가 해운조합 본부를 습격했을 때에도 같이 있었기는 하나 야쿠자와는 선을 그었다. 아예 야쿠자라기보다 '기업인'이라 하는 것이 알맞는 인물이다.

 

여기서 우리는 타오카 카즈오의 척안(隻眼, 남다른 식견) 아니면 선견지명을 깨닫는다. 아무리 '항만 하역 노동자 통솔'이 야마구치구미의 전통이었던 시기가 있다 할 지라도, 전시체제와 전후 GHQ에 의한 점령 정책 아래서 모조리 바뀌어 버린 항만 하역업에 뛰어듦에 있어서는 나름 근거가 있었을 것이다. 아마 그것을 제공한 이가 바로 오카 키요시 아니었나 싶다.

 

즉 타오카 카즈오는 항만 하역업에 정통한 오카 키요시한테 항만 하역업에 대해 자세히 들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점령군의 정책은 반드시 망가지고, 다시 야마구치구미가 진입할 날이 올 것을 확신한 것이다. 그렇게 생각해야지 타오카 카즈오가 조직 차원의 수익원으로 항만 하역업을 골라서 "구미" 배제, "노공(노동자 공급 사업)" 금지라는 환경에서도 기회를 기다리며 착착 준비해온 것을 설명할 수 있다. 

 

타오카 카즈오가 오카 키요시를 샤테이(꼬붕)로 영입한 것은 당시 야쿠자 조직으로서는 따로 찾기 어려운 조직내 분업 체제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다. 야마구치구미가 전국제패를 이룬 과정에서 눈에 띄는 것은 "살인 집단" 야나가와구미(야나가와 지로(양원석) 쿠미쵸) 등 "무투파"의 활약이다. 야쿠자가 궁극적으로는 폭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집단인 이상 당연한 일일 수 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세력을 확장시켜 수많은 조직을 흡수하고 단결을 유지하기에는 무력만으로는 부족하다. 물론 오야붕이나 조직에 대한 충성심 같은 내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죽이고 죽는 싸움을 싸우기 위하여는 무기를 조달하거나 거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렇다. 돈이다. 경제력이 있어야지만 목숨을 건 싸움을 할 수 있는 법이다. 

 

타오카 카즈오 3대째 쿠미쵸가 새 샤테이인 오카 키요시에게 전투력을 기대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그가 오카 키요시에게 기대한 것은 조직의 경제력을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이후 3대째 야마구치구미는 "폭력 부문"과 "돈벌이 부문"의 분업체제로 운영되어 전국 조직으로 성장해 간다. 다만 한 회사의 상품 개발 부문과 영업 부문은 반드시 사이가 좋기만 한 것도 아니다. 야마구치구미도 마찬가지다. 승승장구하는 사이에는 아무 것도 아니었던 것도 한번 상황이 악화되면 분열의 실마리가 된다. 그러나 그것이 뚜렷하게 드러나기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흘러야 된다. 

 

 

【야쿠자 용어의 기초지식(10) ~다이몬(代紋)】

 

top.jpg

 

야쿠자 조직은 일반 회사나 학교와 비슷하게 조직을 상징하는 표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보통 “다이몬(代紋)”이라 불리죠. 옛날-어떤 설에 의하면 10세기 경-부터 귀족이나 무사는 그 가문(家門)을 나타내는 표식으로 가문(家紋)을 사용해 왔다고 하는데, 야쿠자 조직의 다이몬은 그에 비해 역사가 짧습니다. 메이지시대에 접어들면서(19세기 후반부터) 쓰이기 시작됐다는데, 현재는 조직의 크고 작음을 불문하고 전국의 야쿠자 조직이 다이몬을 사용하고 있어요.

 

역사적으로 관서지방 야쿠자 조직은 두목이 바뀌어도 다이몬은 대대로 계속 쓰는 경향이 있던 반면, 관동지방 야쿠자들은 두목마다 다른 다이몬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단 현재는 두목이 바뀌어도 다이몬은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대세인 것 같아요.

 

다이몬이 조직의 통제와 단결을 상징하는 만큼, “다이몬”이라는 말이 조직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이몬 가시라(代紋頭)”는 조직의 가시라(かしら, 우두머리), 즉 두목을 뜻하고, “다이몬을 진다(代紋をかつぐ)”고 하면 그 조직에 몸을 담음을 의미하죠. 또한 “다이몬이 무겁다(代紋が重い)”는 그 조직에 속하는 것이 부담이 된다, 아니면 그 조직에 속함에 따른 책임감을 통감한다는 정도의 뜻이 되겠죠.

 

다이몬은 명함에 인쇄하거나 배지로 만들어 양복깃에 붙이기도 합니다. 조직이 클수록 그 위력도 커지기 마련. 때문에 경찰에 의한 대대적 단속이 있을 때마다 야쿠자 사회도 독과점화 경향을 보여왔는데(그런 의미에서 야마구치구미는 야쿠자 업계의 시장지배적사업자라 할 수 있음), 폭력단대책법 시행 이후 야쿠자의 소속을 나타내는 지표(명함, 배지 등)를 제시하는 것 자체가 꺼려진다고 한네요. 자칫하면 그것만으로 바로 체포될 가능성이 있다니 이제 야쿠자들은 길거리에서 기세를 부리기 어려운 세상이 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