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전 항상 역사 속의 ‘보통 사람들’이 가장 궁금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진짜 보통 사람’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아요. 그래서 양반의 일기 너머에 아른거리는 보통 사람의 이야기를 끌어낼 수밖에 없습니다. 그중 양반과 삶을 함께했던 노비의 이야기는 보통 사람의 흔적을 쫓을 수 있게 도와주죠. 

 

양반의 일기를 읽다 보면 흥미로운 점들이 눈에 띄는데 그중 하나는 ‘양반과 노비가 숨 막히는 기 싸움’을 하는 부분입니다. 노비가 감히 양반과 기 싸움을? 상상이 안 가겠지만, 진짜입니다. 여기 실제 기록되어 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사고뭉치 노비 덕노 때문에 속앓이하는 오희문의 이야기입니다.

 

오희문 사진.PNG

 

일단 오희문(吳希文, 1539~1613)은 누구냐. 『쇄미록(瑣尾錄)』의 저자입니다. 『쇄미록』은 또 뭐냐. 16세기 조선 양반 오희문이 임진왜란 시기를 전후해 9년 3개월 동안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로 피란을 다니며 쓴 일기를 하나의 책으로 묶어낸 것입니다. 『쇄미록』은 임진왜란 3대 기록물 중 하나로 ‘보잘것없이 떠도는 자의 기록’이란 뜻을 지닙니다.

 

또한 조선 중기의 일상사, 생활사, 사회경제사 연구에서는 빠질 수 없는 오래된 고전이죠. 전쟁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평범한 양반이 전란의 시기를 어떻게 살아남아 가문을 일으켰는지를 하루도 빠짐없이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럼 『쇄미록』 속으로 레고~

 

 

쇄미록으로 보는 ‘노비와 양반’

 

소작료를 걷을 생각에 싱글벙글 영남으로 홀로 떠난 오희문. 그러나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듣습니다. 

 

“왜…. 왜놈들이 쳐들어왔소! 피하시오!” 

 

느닷없이 벌어진 뜻밖의 피난민 생활 때문에 논밭을 대부분 잃어 빈털터리가 되었지만, 자존심을 굽히고 양식 구걸을 다니며 가장의 의무를 다합니다. 하지만 웬걸, 중요한 고비마다 그의 발목을 잡는 노비들 때문에 오늘도 그는 뒷목을 잡습니다. 

 

1594년 4월 16일 

 

덕노가 밭을 매다가 자신의 어머니에게

 

“아이참, 엄마! 잔소리 좀 그만해! 듣기 싫다고. 답답한 소리만 하고 있네, 정말”

 

라면서 온갖 욕을 하며 싸우는 꼴을 보았다. 

 

저런 불효막심한 놈을 보았나, 아무리 노비라지만 감히 어머니에게 그럴 수가 있는가. 그전에도 툭하면 자신의 어머니에게 할 말 못 할 말을 가리지 않고 함부로 하길래 내가 여러 번 혼냈는데, 기어코 사람들이 다 보는 자리에서 어머니를 모욕하다니, 금수만도 못한 자식이다. 도저히 참을 수 없어서, 이번엔 크게 매를 쳤다.

 

부모와 자식이 서로 싸우는 일이 낯선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부모에게, 또는 자녀에게 아무 생각 없이 내뱉은 심한 말을 밤새 후회하는 일도 있죠. 하지만, 일기에서 보듯, 덕노는 사람들이 다 지켜보는 자리에서 자신의 어머니를 모욕하는 못된 심보를 지닌 사람이었습니다. 아무리 노비라 할지라도,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지켜야 할 엄연한 도리가 있는데도 말이죠.

 

그래서 매를 심하게 쳤는데, 폭력을 행사한다고 사람이 하루아침에 새사람으로 다시 태어나지는 않죠. 오히려 덕노는 자신의 어머니 대신, 아예 오희문을 곯려주기 위해 작정한 듯한 행보를 보입니다.

 

사진22.PNG

「감로탱화」 중 부분. 위의 감로탱화 가운데에는 主殺其奴, 주인에게 매질 당한 노비의 억울한 죽음이 담겨 있죠. 고통받는 중생들의 모습을 기록한 감로탱화를 통해 매 맞는 노비들의 두려움이 전해집니다.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1594년 4월 18일 

 

덕노는 매 맞은 뒤로 “아이고야, 나 죽네. 어르신, 매 맞은 것 때문에 오늘도 도저히 밭매러 못 나가겠습니다. 정말이라니까요”라면서 죽어도 못 나간다고 성화를 부렸다. 어쩔 수 없이 어둔이와 그 딸내미 둘이서 밭을 매게 시켰는데, 남자 종이 없으니 벌써 며칠이 지났는데도 일이 끝이 안 보인다.

 

효(孝)와 예(禮)를 목숨보다 더 무겁게 여기는 양반이 눈을 시퍼렇게 뜨고 있는 앞에서, 감히 자신의 어머니를 모욕했던 덕노는 호되게 매를 맞은 뒤로, 연일 “나 죽네, 나 죽어”하면서 파업을 실행합니다. 가뜩이나 일손이 부족했던 농번기에 건장한 남자 한 명이 빠져버리니, 밭매는 일이 제대로 되지 않죠. 결국, 오희문은 이웃집 사람들을 고용해서 일을 마무리해야만 했습니다. 덕노는 알았던 것이죠. 자신이 없으면, 결국 손해 보는 사람은 오희문이라는 것을요.

 

심지어 덕노는 영화 <기생충>의 기택처럼, 선을 세게 넘는 일도 서슴지 않습니다.

 

1594년 6월 1일  

 

6월 1일, 지인이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기 위해 나에게 물건을 맡겼는데, 마침 덕노를 황해도에 보낼 일이 있어서 덕노에게 맡겼다. 그런데 같이 갔던 막정이가 돌아와서 말하길,

 

“어르신. 글쎄 덕노가 어르신의 물건을 슬쩍해서 내다 팔고 그 돈을 슬쩍했습니다.”

 

라고 했다. 그 얘기를 듣자 혈압이 확 올랐다.

 

1595년 1월 18일

 

1월 18일, 황해도에 사는 노비 복시가 편지를 보냈는데, “어르신, 작년 소작료를 막정이에게 맡겨서 보냅니다.”라고 쓰여 있었다. 그래서 막정이에게,

 

“막정아. 복시가 소작료를 너에게 맡겼다고 하는데, 어디 두었니”라고 물었더니, 막정이는 소작료요? 저는 모르는 일입니다, 어르신. 그런 얘기 못 들었습니다”라고 답하는 것이 아닌가. 잖아도 덕노가 황해도 여기저기를 다니면서 중간에서 소작료를 훔치더니, 이제는 막정이까지 덕노에게 못된 것만 배워왔구나.

 

123123.jpeg

소작료요? 모르는 일입니다. 그런 얘기 못 들었습니다요.

 

오희문은 덕노에게 황해도에 사는 노비들의 소작료를 걷는 중대한 임무를 맡깁니다. 겸사겸사, 지인에게 보내는 물건도 같이 맡기죠. 그런데 덕노는 중간에서 그 물건을 슬쩍해서 팔아버립니다. 게다가, 같이 갔던 막정이도 덕노의 화려한 ‘삥땅’ 스킬을 배워서 그대로 써먹죠. 중요한 임무를 맡은 두 노비가 야무진 손기술과 천연덕스러운 연기를 보여주자, 화가 머리끝까지 솟아오른 오희문의 머리에서는 김이 솔솔 납니다.

 

이렇게 대놓고 꼼수를 발휘하면 차라리 때리기라도 할 텐데, 최선을 다했는데도 성과를 내지 못하면 그저 분을 삭이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다음의 사례와 같은 이야기인데요. 

 

덕노는 하는 일마다 영 시원치 않아서, 오희문은 일을 맡길 때마다 불안해했습니다. 어느 날, 오희문은 애지중지 올인했던 ‘양봉 코인’을 정산하는 임무를 덕노에게 맡깁니다.

 

1599년 11월 26일 

 

드디어 덕노가 돌아왔다. 그런데 덕노는 풀 죽은 표정으로 그동안 결과를 내게 보고했다.

 

“가지고 간 6두(1두 = 약 18L, 1되 = 약 1.8L)의 꿀을 함흥의 사장에게 팔았는데, 그가 꿀을 재니까 5두 3되밖에 안 되었습니다. 꿀을 산 대가로 저희가 아무 무명천이나 가져가도 된다고 하여 무명천을 골랐습니다만, 전쟁 이후로 무명의 시세가 완전히 떨어진 데다가, 그나마 있는 천들도 모두 하급이었습니다. 하지만 저희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눈앞이 캄캄했다. 원래 서울에 내다 파려고 했던 건데, 함흥 쪽의 꿀 시세가 좋다고 해서 이 모진 추운 날, 노비들을 보내 팔게 했다. 게다가, 1년 동안 생계를 해결해 나갈 중요한 밑천이었는데, 그냥 서울에 내다 판 것도 못 할 만큼 큰 손해를 본 것이다. 하지만 덕노 일행도 이 추위에 눈보라를 뚫고 함흥까지 다녀왔으니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내가 잘못된 정보를 듣고 결정한 것이니, 누굴 탓하랴. 한숨만 나온다.

 

누구에게도 안 알려준다는 고급 정보를 듣고 귀가 쫑긋 솟은 오희문은 애지중지 키운 꿀벌들에게서 꿀을 모두 받아, 덕노 일행에게 맡겨 함흥으로 보냅니다. 덕노 일행은 추위와 눈보라를 뚫고 길을 나서죠. 하지만, 결과는 ‘대폭망’이었습니다. 

 

함흥의 꿀 도매상이 꿀을 재는 도량형이 달라 1차 손해를 보고, 그 대가로 받은 무명의 시세도 급락해서 2차 손해를 봤으며, 그나마 받은 무명의 품질 또한 최하품이라 3차 손해를 봅니다. 본전 회수에도 실패한 대참사의 현장, 오희문의 양봉 주식 그래프는 지구를 뚫을 기세로 수직 낙하합니다. 요즘 같았으면 ‘한강 물 온도’가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겠죠?

 

사진33.PNG

 

한편, 노비들이 묵과할 수 없는 선을 넘을 때면, 양반들은 체벌로 버릇을 고쳐 놓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욕망을 억누르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발생합니다. 임계점을 넘는 순간, 노비들은 ‘대탈주’를 선택했죠. 

 

오희문의 『쇄미록』에도 각종 탈주 사례가 기록되어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근성의 탈주를 보여준 조선 노비판 로미오와 줄리엣, 송노와 분개의 스토리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계속>

 

 

추신

 

빵꾼, 인사드립니다.

 

딴지스 여러분 덕분에, 『시시콜콜한 조선의 편지들』에 이어 『시시콜콜한 조선의 일기들』을 내놓았습니다. 『시시콜콜한 조선의 일기들』은 조선 사람들의 단맛 짠맛 나는 일기를, 우리 시대의 ‘김 씨 아조씨’의 삶과 야무지게 비벼놓은 책입니다. 저 혼자 읽기엔 아까울 만큼 재밌는 책이라, 책 속 「이 씨 양반은 가오리고, 류 씨 양반은 문어라니까」 챕터에 수록된 에피소드를 기사로 살짝 소개합니다. 사달라는 얘기, 맞습니다. 

8d1a8de9bc54b4861b9969beb4bd638a.jpg

 

 
Profile
조선사 교양서를 쓰고 있는, 딴지가 배출한 또 하나의 잉여 작가
딴지의 조선사, 문화재, 불교, 축구 파트를 맡고 있슴다.
이 네 개 파트의 미래가 어둡다는 거지요.

『시시콜콜한 조선의 편지들』
『시시콜콜한 조선의 일기들』
『시시콜콜 조선복지실록』
『시시콜콜 조선부동산실록』 신간(*´∪`)

https://www.instagram.com/ddirori0_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