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지난 글에서 미국 영상산업 촬영 현장은 나름 합리적으로 돌아가며, '돈에 미친’ 할리우드도 (최소한으로는) 각종 노동법을 준수하고 있음을 소개했다. 

 

그렇다면 이런 합리적 대우는 어떻게 정착될 수 있었을까? 

 

이에 답하기 위해선, 이전 글에도 언급한 영화 ‘오즈의 마법사’ 이야기부터 시작해야 한다.

 

 

미국 배우 노동조합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1939년 발표된 ‘오즈의 마법사’는 할리우드 황금기에 발표된 획기적 뮤지컬 영화다. 아무리 고전에 관심 없는 영화도 이 영화 주제곡 Over the Rainbow(무지개 넘어)는 들어봤을 것이다.

 

마술 같은 영상미와 엄청난 흥행을 기록한 ‘오즈의 마법사’지만 이 영화가 남긴 마법은 따로 있다. 바로 영화배우조합(Screen Actors Guild, 약칭 SAG)를 만들어낸 것이다.

 

오즈의마법사.PNG

오즈의 마법사는 겉으로는 환상적 내용을 보여주었지만,

영화 촬영 현장은 추악했다. 

출처-<워너브러더스 홈페이지>

 

아담 스미스식 ‘자유방임주의’가 만연했던 1930년대 미국에서는 노동법이고 최저임금이고 뭐고 없었다. 당연히 1930년대 영화배우 및 스탭들의 인권은 처참하게 유린되고 있었다. ‘오즈의 마법사’ 주연이었던 16살 소녀 주디 갈란드도 마찬가지였다. 그녀가 당한 일은 대략 다음과 같았다.

 

1. 초과근무

 

10대 소녀를 비롯한 모든 스태프가 잠도 안 자고 20시간씩 촬영.

 

2. 아동 착취

 

10대 소녀처럼 보이려면 날씬해야 한다며 하루에 닭고기 스프 한 그릇만 먹으라고 강요. 게다가 커피, 벤제드린 등 각종 각성제 및 담배 흡연 강요.

 

3. 약물 남용

 

주디 갈란드 뿐만 아니라 상당수 배우와 스탭들이 장기간 촬영을 견디기 위해 각성제 및 약물을 복용하여 촬영 현장에서 난동이 벌어지기도 함.

 

4. 폭언

 

영화 관계자는 주디 갈란드를 시종일관 ‘저 돼지 꼬리 머리를 한 조그만 돼지 새끼(fat little pig with pigtail)’라고 불러댔음. 

 

5. 폭력

 

감독 빅터 플레밍은 10대 소녀에게도 연기를 못한다고 싸다구를 날렸음. 뿐만 아니라 다른 스태프에게도 주디 갈란드의 가슴을 한 대씩 치라고 명령.

 

6. 성희롱

 

주디 갈란드는 성인배우들에게 시종일관 구박당했으며, 일부는 가슴을 부여잡는 등 성희롱 저지름.

 

7. 배우 착취

 

상당수 배우들이 분장용 고무 가면을 쓰다가 질식하거나, 폭파 특수효과 과정에서 화상을 입음.

 

사진2.PNG

주디 갈란드

 

주디 갈란드는 결국 약물복용으로 인해 47세의 나이로 요절하게 되는데, 어릴 적 오즈의 마법사 때 겪은 약물남용도 하나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아역배우 시절 주디 갈란드가 겪은 각종 직장 내 갑질은 주디 갈란드의 전기 영화에서 빠짐없이 등장한다.

 

이런 현실은 ‘오즈의 마법사’ 뿐만 아니라 할리우드에 만연한 인권침해였다. 돈이 돈을 먹고 사람을 쓰다가 버리는 현실이 1920-30년대 미국의 현실이었고, 이는 1930년대 미국 대공황으로 폭발하게 된다. 

 

1933년 대공황 극복을 공약으로 당선된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은 취임 100일 작전으로 각종 뉴딜 정책을 입법하는데, 이 중에는 노동자들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파업권을 보장하는 와그너 법(The Wagner Act,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of 1935)이 있었다. (1920년대 미국 대공황과 루즈벨트의 뉴딜정책과 이에 대한 기득권의 저항은 필자의 이전 글을 참조하시라 / 링크)

 

그동안의 가혹한 촬영 현장에 대한 저항 의식과 루즈벨트의 뉴딜정책&노동정책에 힘입어 1933년 6명의 배우는 최초의 배우 노조 SAG를 결성하게 된다. 물론 SAG가 처음부터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처음 몇 년 동안, 많은 유명 배우들은 노조 가입 시 불이익을 우려해 SAG가입을 꺼렸다. 그러나 1939년 ‘오즈의 마법사’에서 고생했던 배우들이 뭉치고, 특히 오즈를 연기했던 프랭크 모간의 집에서 열린 모임을 계기로 SAG 가입 배우는 80명에서 4,000명으로 늘어난다. 

 

사진3.PNG

영화 오즈의 마법사에서

도로시와 마법사 오즈(프랭크 모건). 

출처-<워너브러더스>

 

SAG 조합은 영화사에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법정 근무 시간 준수 

-초과근무 시 오버타임 수당 지급 

-불합리한 출연 계약 무효 및 근무 여건 개선 

-의료보험 및 실업수당 제공 등

 

SAG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갔다. 회원들에게 실질적 이득(돈!)을 주러 나선 것이다.

 

 

배우 노조가 배우들에게 인정 받고 실질적 도움이 되는 이유

 

지난 1월 전직 단역배우 케이시 마르골리스(Casey Margolis)가 틱톡(tiktok)에 올린 비디오가 화제 된 적이 있다. 이 배우는 2007년 영화 수퍼배드(Superbad)에서 주인공 세스 로건의 아역을 맡은 단역배우인데, 15년이 지난 오늘날 영화로 얼마를 벌고 있는지를 동영상을 통해 소개한 것이다.

 

사진4.PNG

 

“내가 바로 영화 ‘수퍼배드’에서 **을 그려대던 애다. 그리고 이게 영화 촬영 15년 후 내가 번 돈이다.” 

 

“가장 많이 받아본 수표는 1만 33달러였고, 그다음엔 4,241달러, 5,760달러를 받기도 했지.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영화 출연으로 10만 달러(현 환율 기준 약 1억 3천 7백만 원)를 번 것 같아.”

 

사진5.PNG

이 배우는 그 밖에도 가끔 10센트짜리 수표도 받는데,

아마 TV 드라마 등에서 작은 역할로 연기한 것에 대한

대가일 것이라고 한다. 

출처-<Casey Margolis>

 

이처럼 SAG 노조원 배우는 출연료 이외에도 ‘플러스 알파’ 수입이 있다. 영화 개봉 이후에 받는 레지듀얼 체크(Residual check)라는 것이다(한국말로 번역하기 어려워 영어 발음대로 쓴다).

 

레지듀얼 체크는, 자신이 출연한 영화가 극장 개봉 이외에 2차 시장(TV, 넷플릭스)에 방송될 경우 분기, 또는 매년 수표로 추가 수입이 날아오는 것이다. 굳이 한국에서 찾자면 러닝개런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레지듀얼 체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한국의 그것과 다르다.

 

1. 영화 흥행 수입이 아닌 TV, OTT 등 2차 시장 수입을 분배해서

 

2. 촬영 후 10년 후 건, 100년 후건 상관없이 무제한으로

 

3. 주연뿐만 아니라 아무리 작은 역할을 맡은 조연이라도 SAG 조합원이면 반드시 지급한다.

 

레지듀얼 체크는 수많은 SAG 소속 배우들이 실직 기간 또는 대기 기간 중에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이다. 영화배우들의 노조인 SAG가 배우들에게 인정을 받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이유가 바로 금전적 보상, 레지듀얼 체크이기도 하다. 

 

한국 영화계에는 없는 혜택인 레지듀얼 체크는 어떻게 생겼는가. 그걸 말하기 위해서 이번엔 1940년대 말 TV가 발명되었을 때로 가야 한다. 

 

 

삼류 배우가 이끈 파업이 ‘레지듀얼 체크’를 만들다

 

1940년대까지 TV가 없던 시절만 하더라도 일반인들이 영화를 접할 수 있는 창구는 극장뿐이었다. 하지만 1950년대 TV라는 ‘바보상자’가 발명되면서 급속히 영화업계는 재편되기 시작한다. 1956년 ‘오즈의 마법사’가 TV에 처음 방송된 것을 시작으로, 영화가 극장 개봉 후 TV라는 2차 시장에서 추가로 돈을 버는 길이 열린 것이다. 

 

2차 시장의 개막으로 영화사는 싱글벙글했지만, 문제는 배우들이었다. 많은 배우들은 주장했다.

 

“그동안 우리들은 극장 개봉에 대해서만 계약했다. 이제 2차 시장 추가 수입(영어로는 레지듀얼 residual)도 받아야 한다.” 

 

물론 영화사의 반응은 한마디로 거절이었다. 

 

“오~ 씻! 웃기고 있네. 출연료 한번 받았으면 됐지, 또 뭘 달라고?”

 (Why should any employee be paid more than once for the same job?)

 

사진6.PNG

 

결국 SAG는 최후의 수단을 꺼냈다. 

 

“이 생퀴들 좀 봐라. 그래, 쒸파! 파업이다!” 

 

1960년 SAG는 파업 찬반투표를 붙였고, 결국 3월 7일 파업에 돌입한다. 배우들은 7개 메이저 영화사 스튜디오에 출근하지 않고 영화사 앞에서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사진7.PNG

“우리는 어쩌고? 협상에 응하라” 팻말을 든 배우 노조원과

“빨리 직장으로 복귀하라” 팻말을 든 사측.(좌) 

SGA 사무실 앞에서

“배우들이 정치가 웬 말이냐. SAG 회장 사퇴하라”

팻말을 든 사측.(우) 

출처-<Los Angeles Public Library Photo Collection>

 

파업하면 “빨갱이” “귀족 노조”라고 불리는 상황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다를 게 없다. “빨갱이”라는 욕설에도 굴하지 않고 SAG 배우들은 5주간의 파업을 이어갔고, 영화 촬영이 올스톱되자 결국 유니버설 픽처스를 시작으로 7대 메이저 영화사들이 SAG와 다음과 같은 조건에 합의한다.

 

1. 1960년부터 제작되는 모든 영화는 출연 배우들에게 레지듀얼 체크를 지급한다.

 

2. 1948년 이전 영화에는 레지듀얼 체크가 없다.

 

3. 1948-1959년 기간에 제작된 영화에 대해서는 SAG에 225만 달러를 일시불로 지불한다. SAG는 이 돈으로 배우노조원을 위한 의료보험을 운영한다.

 

이렇게 시작된 SAG 레지듀얼 체크는 60년이 지난 지금도 미국 무명배우들의 한 끼 술값, 또는 급할 때 쓸 수 있는 용돈이 되고 있다. 

 

아 참, 한 가지 잊은 게 있다. 당시 할리우드 사상 최초 배우 파업을 뚝심 있게 끌고 나간 SAG 배우조합장 말이다. SAG는 사측 협상 및 파업 성공을 위해 특별한 “파업 최종병기”를 노조위원장으로 선출했는데, 그는 이렇게 생겨먹었다.

 

사진8.PNG

(스포일러 주의!) 말빨좋고 정치력 좋지만,

영화경력은 별 볼 일 없는 이 삼류 배우 겸 노조위원장은

6년 후 캘리포니아 주지사, 20년 후에는 미국 대통령이 된다.

 

SAG는 지금도 배우를 대변해 영화사/업체와 근로조건 협상을 3년에서 5년씩 갱신하고 있다. 드물긴 하지만, 수틀리면 파업도 불사한다. 가장 최근 배우 파업의 불똥이 튄 곳은 여기다.

 

사진9.PNG

 

2016년 SAG의 게임산업 담당 성우(게임도 엄연히 영상산업이고 성우도 엄연히 배우다!)들이 액티비전, EA, 테이크 투 등 11개 게임업체를 대상으로 파업(2016–2017 video game voice actor strike)에 돌입했다. 게임사에 요구한 산별협약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았다.

 

1. 성우들에게 게임 2차 시장에 대한 레지듀얼 지급 

2. 목소리 손상 방지를 위한 장기간 녹음 금지 및 녹음 여건 제공 

3. 출연 게임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

(상당수 게임사는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게임 제목이 아닌 프로젝트 네임, 또는 코드만 알려주는 일이 많았다. 또한 전체 게임의 맥락에 상관없이 대본 일부만 주고 녹음하는 일도 있었다) 

 

결국 SAG는 게임사로부터 녹음 1세션 당 배우에게 $75달러 보너스 지급, 녹음 시 게임에 대한 정보 공개 등의 근로조건 개선을 얻어냈다.

 

 

5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국 할리우드의 가혹한 촬영환경에 시달린 영화배우들은 1930년대부터 노조를 만들었다.

 

2. 루즈벨트 대통령의 최저임금, 단결권, 단체교섭권 보장에 따라 배우노조는 7대 영화사와 노사협상을 했다.

 

3. 노조위원장을 맡은 삼류 배우 로널드 레이건은 1960년 사상 최초로 영화 촬영 거부 파업을 주도했다.

 

4. 7대 영화사는 처음엔 코웃음을 쳤지만, 영화 촬영이 ‘올스톱’ 되니 결국 배우노조와 협상했다.

 

5. 협상 결과 배우조합 노조원 배우들은 60년이 지난 지금도 2차 시장에서 매년 돈을 받고 있다.

 

 

미국 배우 조합과 파업, 권리 찾기를 적다 보니 글이 길어졌다. 다음 편에서는 미국 영화계의 작가, 스태프들이 어떻게 자기 권리를 찾고 합리적 직장을 만드는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