딴지 편집부
슈퍼의 스타K 13-2회: 단통법 그리고 표인봉과 현아
출연: 홀짝, 로라, cocoa
PD: 나타샤
이번 화에서 단통법 이후 달라진 핸드폰 시장에 대해 얘기해본다. 아직 빙하기라며 몇 달째 아이폰6 구매를 벼르고 있는 딴지일보 신입기자 cocoa가 함께 한다.
지난해 10월 단통법이 시행된 이후 핸드폰 시장에 무슨 변화가 일어났을까? 간단하게 '표인봉'과 '현아'로 설명할 수 있겠다. 표인봉은 핸드폰 값의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주는 '페이백'의 은어로, 페이백의 초성인 'ㅍㅇㅂ'과 표인봉의 초성이 같다하여 붙여졌다. 반면에 현아는 '현급완납'의 줄인말로 이 역시 단통법 이후 생긴 은어다.
현아는 잘못이 없다!
(출처- 현아 인스타그램 @hyunah_aa)
그렇다면 이 은어들을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 애초에 이 은어들이 나온 배경은? 표인봉과 현아를 이용해 더 싸게 핸드폰을 사려는 호갱, 그 호갱에게 핸드폰을 팔려는 판매자, 그들을 감시하는 폰파라치 등 단통법 이후 더 음성화 되고 어지러워진 핸드폰 시장을 모조리 다 디벼드린다.
방송 듣기 |
딴지 편집부
추천
[국제늬우스]스파이뎐 II - 감시사회 : 메르스에 한눈팔 동안 휴대전화 감청법 온다 타데우스추천
[세계사]전쟁으로 보는 국제정치 - 러일전쟁5 펜더추천
[의학]10문 10답으로 정리하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raksumi추천
[세계사]전쟁으로 보는 국제정치 – 러일전쟁4 펜더추천
[문화]매드맥스를 감상하는 두 가지 방법 그럴껄+bitterunsweet검색어 제한 안내
입력하신 검색어는 검색이 금지된 단어입니다.
저작권보호 혹은 청소년보호에 의해 검색보호조치 및 내부규정에 따라 검색 제한을 진행하고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아동·청소년이용 음란물을 제작·배포·소지한 자는「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제11조에 따라 법적인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