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한국엔 1945년 9월 7일부터 1982년 1월 5일까지 약 36년 4개월 동안 '야간 통행금지'가 시행됐었습니다. 1982년 이후에도 휴전선 인근/해안선 지역엔 야간 통행금지가 있었고, 1988년 1월 1일에 모든 야간 통행금지가 해제됩니다.
![]()
182. 크리스마스가 한국에서 연인들의 날로 정착된 배경 중 하나로 야간 통행금지를 꼽는 사람도 있습니다. 석가탄신일/크리스마스/12월 31일엔 야간 통행을 금지하지 않았고 덕분에 연인들은 밤늦게까지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었죠.
![]()
183. 한국에서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해외 여행을 다닐 수 있게 된 것은 1989년 1월 1일부터입니다. 이전에는 기업의 출장/해외 취업/유학 등의 사유가 있어야만 해외로 나갈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생각보다 역사가 짧습니다.
![]()
184. 해외여행 자유화 이전에 미국 등 해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한 학자에 대한 인식은 현재의 유학파에 대한 인식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여권을 가진 것이 특권처럼 여겨지던 시절에 해외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은 보유한 정보의 양이 달랐으니까요.
![]()
해외여행 가려면 교육까지 받아야하던 때에 유학하기란 쉽지 않았을 거다
(출처: 국가기록원. 1970년대)
185. 해외여행 자유화 이전에는 제주도나 설악산 등이 주요 신혼여행지였습니다. 20대 청년의 해외 배낭여행은 문자 그대로 다른 세상의 이야기였죠. 대략 한 세대 전의 한국 사회의 모습이었습니다.
집에_흔히_있는_사진.jpg
186. 해외여행 자유화는 단계적으로 이뤄졌습니다. 1983년 1월 1일부터 최초로 순수 관광 목적의 여권 발급이 시작됐습니다. 조건도 까다로워서 50세 이상 국민이 1년 간 200만 원을 예치하면 연 1회 유효한 관광여권이 나왔지요.
![]()
187. 최초로 해외여행이 자유화되던 시절의 자격요건은 '재산과 나이'였습니다. 처음엔 50세 이상, 그 뒤 조금씩 연령제한을 낮추다가 1989년 1월 1일에 해외여행이 전면 자유화되죠. 그렇습니다. 대한민국은 해외여행도 나이 순서대로 갔습니다.
![]()
1988년 6월 30일 <MBC 뉴스>
188. 펭귄은 남극의 상징 같은 존재이지만 사실 남반구의 여러 지역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북극곰은 이름대로 북극에 서식하고 있죠. 자연상태라면 만날 일이 없는 펭귄과 북극곰이 한 동물원에서 생활하는 모습은 인류가 지구를 정복한 증거 같은 장면이죠.
![]()
황제펭귄만 해도 남반구 여기저기에 산다.
189. 대왕고래는 지구상에 현존하는 동물 가운데 가장 크며, 지금까지 화석이 발견된 어떤 동물보다도 큽니다. 맞습니다. 공룡보다도 큽니다.
![]()
190. "사자와 호랑이가 싸우면 어느 쪽이 이기는가?"라는 질문은 오랫동안 인류의 치열한 논쟁거리였습니다. 고대 로마인들도 투기장에서 호랑이와 사자를 대결시켰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입니다.
![]()
사랑싸움으로 라이거/타이온을 낳기도 하는데...
191. 이메일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습니다만, 대체로 1970년대 초반에 개발된 것으로 봅니다. 인터넷의 시작과 함께 한, 어찌 보면 인터넷 개발의 목적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는 서비스죠.
![]()
192. 영국의 여왕 엘리자베스 2세는 1976년 3월 26일, 현대 인터넷의 전신으로 간주되는 '아파넷(ARPAnet)'을 사용해 처음으로 이메일을 발송합니다. 엘리자베스 2세는 최초로 이메일을 보낸 군주로 기록됐지요.
![]()
193. 현재는 자동으로 스팸메일을 분류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이메일 서비스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정착됐지만, 스팸메일 문제가 처음 대두되던 시절에는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가 일방적으로 메일을 분류해도 되는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
194. 놀랍게도 인류는 종이로 된 백과사전을 집필해 발간하고 그것으로 정보를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종이로 된 백과사전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영어로 집필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었으며, 초판은 1768년에 발간됐습니다.
![]()
브리태니커 초판본
195. 인터넷 백과사전의 대표격인 위키피디아는 2001년 1월 15일에 시작됐습니다. 21세기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 중 하나였다고 생각합니다.
![]()
196. 1938년 2월 24일, 칫솔모로 나일론을 사용하는 칫솔이 처음 등장합니다. 미국 듀폰사가 처음 제품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죠. 인류의 구강 위생 증진에 큰 영향을 준 사건이었습니다.
![]()
197. 스시는 종류가 다양한 만큼 역사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형태의 스시는 에도 시대에 현재의 도쿄로부터 시작된 것이며, 처음 유행할 당시에는 가볍게 배를 채우는 간단한 요리였습니다.
![]()
198. 오뎅은 어묵과 동의어가 아닙니다. 오뎅은 일본의 요리 이름이며 그 요리의 건더기로 어묵도 들어가는 것입니다. 일본의 오뎅에는 어묵 이외에도 계란, 무 등 여러 재료가 들어갑니다. 요즘은 소시지도 들어가죠.
![]()
199. 카메라 관련 기술과 전쟁은 여러모로 관계가 깊습니다. 광학 기술은 강한 군사력 얻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니 두말할 나위도 없습니다만, 지금은 삼각대로 유명한 회사 '짓조(GITZO)'도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기관총 받침대로 명성을 얻었지요.
카메라와 망원경 모두 둘 다 광학 기술을 필요로 한다
200. 미국 대통령 선거의 선거일은 선거가 있는 해 11월의 첫 월요일이 지난 다음의 첫 화요일입니다. 정확히 이 날은 선거인단을 선출하는 날이고 선거인단이 12월에 대통령을 선출하지만, 선거인단 선출 시점에 대통령이 결정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지난 기사 |
알려지지 않은 주시자
트위터 : @unknownbeholder
편집 : 딴지일보 챙타쿠
추천
[분석]'환율조작국'의 진실 찾아 삼만리: 움직이는 미국, 헤매는 한국정부 멀더요원추천
[꿀팁]전원주택 건축주가 말하는 전원주택 건축 팁 10가지 ★젭알경기회복좀★추천
[과학]야밤의 공대생 만화 3 : Thomas Young의 우울 치킨무추천
» [잡식]언젠간 쓸모 있을지 모를 짧은 지식 10 알려지지 않은 주시자추천
[기획특집]초한쟁패(楚漢爭覇): 4. 폭풍전야 필독검색어 제한 안내
입력하신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는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딴지 내 게시판은 아래 법령 및 내부 규정에 따라 검색기능을 제한하고 있어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전기통신사업법 제 22조의 5제1항에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삭제, 접속차단 등 유통 방지에 필요한 조치가 취해집니다.
2.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청소년성처벌법 제11조에 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아동·청소년이용 음란물을 제작·배포 소지한 자는 법적인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에 따라 청소년 보호 조치를 취합니다.
5. 저작권법 제103조에 따라 권리주장자의 요구가 있을 시 복제·전송의 중단 조치가 취해집니다.
6. 내부 규정에 따라 제한 조치를 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