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같은 소리하네 : 여름 특집
<이대열의 브레인 블루스>
이대열 예일대 신경과학과 석좌교수
이게 대학이여
예일대.
1701년 설립되어 300년이 넘는 전통을 가진, 하버드와 적대적 공생관계 상생의 경쟁관계인 아이비리그 초일류 대학. 우원이 어릴 때 우리나라의 예술대학인줄 줄 착각했던, 하지만 절대 아닌 Yale 대학교.
놀랍게도 이곳에는 한국인 석좌교수가 있다. 머 다른 분도 있을지 모르지만 암튼 우원은 이 분을 안다. 바로 신경과학과 이대열 교수.
우리가 뇌과학 많이 듣고 또 봐 왔지만 이 분은 경제학에서 신경과학으로 전공을 바꿨고, 이를 통해 (당연히) 경제학적 관점에서 뇌과학에 접근하는 참으로 신박한 분이다.
석좌교수란 지위에 어울리게 사이언스 네이처 등 각종 저널에 9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현재 신경과학 저널의 편집자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 한 마디로 석학 중의 석학이란 말씀이다.
이 분이 벙커에 오신다. 과학같은 소리하러.
알파고 이후 우리나라에서 인공지능은 전국민의 숙제가 되어 버렸다. 인공지능이 직업을 위협함은 물론, 어느날 의식을 갖게 되어 자아실현 하느라 우리를 깡그리 멸망의 나락으로 몰아 넣을지도 모른다는 SF 같은 스토리가 모두의 걱정거리가 된 거다.
이런 세태 속에서 이 분야의 전문가 중 전문가라고 할 예일대 석좌교수님의 생각은 뭘까? 그에게 지능은 무엇이며 의식은 무엇이며 인공지능은 무엇이며 생명은 또 뭘까. 바로 그 충격적인 진실을 알고 싶지들 않냐.
우원네는 이미 그의 저서를 통해 이 이야기를 팟캐스트에서 나눈 바 있으나, 그렇다고 이 짧은 지면에서 어쩌고저쩌고 하는 건 아무 의미 없으니 이제 벙커에 직접 들으러 오시면 된다.
우리는 인공지능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으며 어디까지 하고 있으며 또 얼마나 두려워해야 하는지. 그 모든 것을 이대열 교수님이 파헤쳐 줄 것이니.
‘과학과 사람들’과 벙커1이 함께 하는 공개 과학토크<과학같은 소리하네>
여름 특집<이대열의 브레인 블루스>초대 손님 : 이대열 예일대 신경과학과 석좌교수일시 : 7월 13일 목요일 오후 7시경장소 : 서대문 벙커 1 (충정로역 9번 출구에서 10초)
참가비 : 없음
(맥주나 음료 한잔씩 사 드시는 건 매너.안주 및 스낵도 완전 맛있어서 밥 대신 먹어도 된다!)
목요일에 봅세. 우리가 언제 예일대 석좌교수님 얼굴을 지척에서 또 보나?
파토
트위터 : @patoworld
페이스북 : jongwoo.won
편집 : 딴지일보 인지니어스
추천
[정보]현직 정형외과 원무과장 입니다 : 교통사고 치료 및 합의에 대하여 빚으로쓴편지추천
[사회]이언주에게: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을까 셀러킴추천
[세계사]전쟁으로 보는 국제정치 4부 16 - 일본의 비명이 종말을 재촉했다 펜더추천
[과학]야밤의 공대생 만화 25 : 뉴턴 단편선 치킨무추천
[문화]영화 리얼의 미학, 이 영화는 설치미술이다. 필독추천
[사회]이언주 의원에게 : 급식 조리사는 밥하는 아줌마가 아닙니다 젊은농부추천
[산하칼럼]박열과 후미코 산하추천
[이너뷰]김용민 PD 인터뷰 : 종교인 과세, 당연히 해야 한다 인지니어스검색어 제한 안내
입력하신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는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딴지 내 게시판은 아래 법령 및 내부 규정에 따라 검색기능을 제한하고 있어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전기통신사업법 제 22조의 5제1항에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삭제, 접속차단 등 유통 방지에 필요한 조치가 취해집니다.
2.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청소년성처벌법 제11조에 따라 불법촬영물 등을 기재(유통)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아동·청소년이용 음란물을 제작·배포 소지한 자는 법적인 처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에 따라 청소년 보호 조치를 취합니다.
5. 저작권법 제103조에 따라 권리주장자의 요구가 있을 시 복제·전송의 중단 조치가 취해집니다.
6. 내부 규정에 따라 제한 조치를 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