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오늘날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 자리에 오르게  미국. 만약 미국이 세계 초강대국이   있었던 결정적 장면을 하나 꼽으라면, 거의 대부분의 학자들이 미국의 루이지애나 구입이라 말한다.

 

단돈 1,500 달러로 지금 미국 영토의 1/4 사들였다.”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미국 영토의 1/4이지만, 당시 기준으론,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땅만큼의 땅을 사라는 소리네.”

 

 된다. 이건 누가 봐도 남는 장사였다. 미국은 1제곱킬로미터  겨우 7달러란 헐값으로 루이지애나 주를 샀다. 사람들은 루이지애나 주의 구입을 단순히 ‘영토 관점으로 바라보는데, 루이지애나 주의 가치는 따로 있었다. 바로 ‘미시시피 이다.

 

slide_2.jpg

 

정확히 말하자면, 미시시피 강을 기반으로  수운이다.  소여의 모험이나 허클베리 핀을 읽어  사람이라면 이해할  있을 거다. 뗏목을 타고 강을 여행하는 모습이  묘사돼 있는  보면 미시시피 강이 어느정도 크기였는지   .

 

미시시피 강을  마디로 정의하자면, '미국 강과 하천의 허브'   있다. 미국 미네소타주에 발원된  강은 미국으로 가로질러 멕시코 만으로 흐르는 강이다.  중간에 수많은 지류가 모여들어 하나의 거대한 ‘물의 허브 된. 미국 내에서 가장  강이라 하는 미주리(3,767킬로미터)강이 미시시피 강의 지류인  보면  강의 크기를 이해할  있을 거다. 대충  지류만 꼽아봐도 미주리, 아칸소, 미네소타 , 오하이오 , 일리노이  등등 미국을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강들을 지류로 두고  천지사방으로 뻗어나간다.

 

이제 슬슬 느낌이  거다. 루이지애나 주의 ‘땅덩이 물론 중요했지만,  보다  중요한  바로  미시시피 강을 차지하게 된 것이라는 걸.애초 제퍼슨이 나폴레옹에게 처음 제안을 넣은 이유도  통행과 관계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미시시피 강은  그대로 수운의 핵심이었다. 서부를 횡단하는 열차가 깔렸어도 주요 물류는 여전히 미시시피 강을 활용한 물류였다. 서부 개척의 핵심,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건너가기 위한 물류의 핵심이 바로 미시시피 강이었다.

 

루이지애나를 샀다는  달리 표현하자면, '미국이란 나라의 물류망을 샀다.'라고 봐야 한다. 단적인 예로 남북전쟁 당시 남부의 물류는 미시시피 하구를 통한 수운이었는데, 북군이 여길 막아서자 남부 수출입 물량의 90% 막혀 버렸다.

 

미시시피 강의 물류는 세월이 흐르면서 크게 쇠퇴했지만, 지금도 미국 남부와 세계의 물자를 연결하는 주요 창구로 활용되고 있다. 뉴올리언스가 허리케인 카타리나 때문에 쑥대밭이 됐을  미국 물류가   휘청였는데, 아무리 쇠퇴했다고 해도 뉴올리언스이다. 여전히 미국의 주요 항구  하나이고, 남부로 이어지는 관문인 거다.

 

스크린샷 2020-03-31 오후 9.52.12.png

이미지 출처 - 링크

 

, 이런 상황에서 당시 프랑스는...아니,  찍어 나폴레옹은  루이지애나를 팔았다. 여기서  루이지애나 땅의 등기부 등본을 확인해야 하는데, 원래 루이지애나 주는 루이 14세의 땅이었다(그렇다고 프랑스가 원래부터 가졌던 곳은 아니고... 복잡하다).

 

이게  유럽 왕실 족보를 보면 복잡다단한데, 프랑스의 루이 14세의 손자가 펠리페 5세가 된다. 이때 스페인이 프랑스에게  땅을 넘긴다. 그러다 7 전쟁으로 프랑스가 깨지자 다시 스페인이 다시  땅을 가져가게 됐고, 나폴레옹이 다시 스페인을 두들겨 패자  땅을 다시 프랑스가 가져가게 된다. 서로  번인가 핑퐁게임을  건데...여하튼 이때는 프랑스 것이었다.

 

문제는 이렇게 되자 미국이 급하게 됐다. 루이지애나의 수운을 활용하던 미국  입장에서는 프랑스와의 교통정리가 필요했다. 이때 나폴레옹이 역제안을 걸었던 거다.

 

번거롭게 통행세 오가는  보다는...그냥 너희들이 이걸 사가라. 내가 싸게 넘길게.”

 

“...? 진짜요? 그런데 가격이...”

 

우리도 너희 사정  아는데...그래,  1,500 달러에 사가라.”

 

“...., 정말이죠? 진짜죠?”

 

이렇게  거다. 지금 기준으로 보자면 나폴레옹은 제정신이 아니라고 보는  맞다. 미국의 노른자 땅을 그것도 지금 영토의 1/4이나 되는 땅을 헐값에 넘긴 거였다. 만약  땅을 넘기지 않았다면? 아마 미국은 지금의 미국이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지금 시각에서의 이야기다. 당시 기준으로 보자면 나폴레옹은 충분히 ‘남는장사를 했다. 오히려 가격 높을    거였다.  그랬던 걸까?  가지 이유를 추려보자.

 

첫째, 당시 프랑스는 유럽에서 전쟁중이었다.  유럽 안에는 ‘영국 끼여 있었다. 아니, 영국이 주축이  프랑스의 발목을 잡았다. 북미의 영국 식민지에서  땅을 공격할 수도 있었다. 방어하기가 어려운 지역이었다.

 

둘째, 대서양을 건너려면 당장 영국 함대를 넘어야 하는데 이게 쉽지 않았다. 이미 아이티 혁명이 터져서 프랑스 본토에서 병력을 파병해야 하는데,  병력을 보내는 것 힘들었다.

 

셋째, 전쟁이 점점 확대되는 상황에서(나폴레옹은 20 동안  유럽을 쏘다녔다) 새로 얻은 식민지를 관리할  돈도, 시간도, 여력도 없었다.

 

넷째, 루이지애나 주의 개발 잠재력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당시에 그나마 경제성을 인정할  있는  뉴올리언스 정도가 고작이었다.

 

다섯째, 만약 루이지애나가 정말 필요하다면 미국은 전쟁을 해서라도 빼앗을 것이다. 차라리   있을  파는  현명하다.

 

나폴레옹에겐  계획이 있었던 거다. 쉽게 말하면,

 

어차피 내 것이   없는 땅이다.   있을  팔아버려야 남는 거다.”

 

 계산이다.  계산은 정확했다. 이미 영국이 제해권을  상황이었고, 프랑스가 식민지 관리를 위해 병력파병을 하기 애매한 상황. 더구나 유럽에서 계속 전쟁이 이어지고 있었다.  모든 난관을  뚫고 루이지애나를 관리했다 하더라도 마지막에 ‘미국 얌전히 기다리고 있었을까? 아마 순순히 물러서진 않았을 거다.

 

United_States_1800-07-04-1800-07-10.png

 

미국이란 나라는 평화를 사랑하는 신사적인 나라라 생각할  있는데, 그건 자신의 이권이 걸려있지 않았을 때의 모습이다. 미국도 은근 ‘욕심이 많았다.

 

“...쿠바   어때?”

 

, 탐나지. 그런데 주인이 팔려고 내놓지를 않으니...”

 

내놓지 않으면, 내놓게 만들면 되잖아.”

 

쿠바가 탐났던 미국은 스페인에게 쿠바를 팔라고 찔러본다. 스페인은 냉정하게 이를 거절했고, 미국은 전쟁을 일으킨다. 바로 미국-스페인 전쟁이다.  결과 미국은 쿠바와 필리핀까지 빼앗아 버린다.

 

그러게 얌전히 쿠바 팔라고 했을  팔지...그러면 돈도 받고, 필리핀도  뺏기잖아.”

 

이런 미국이 루이지애나를 가만히 내버려뒀을까? 십중팔구, 어떤 식으로든 루이지애나를 찔러 봤을 거다. , 그런데  대목에서 루이지애나 주를 포기하게  ‘ 다른이유가 등장한다. 아니,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게 ‘진짜 이유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단순히 음모론이나 과대포장이라 폄하하는 이들도 있지만...어쨌든 나폴레옹의 판단근거  하나일게 분명한 ‘전염병 하나 있었다.  이름은 바로,

 

황열(黃熱)” 이다.

 

 

Hepatits-C.jpg

 

 

다음 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