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추억영화 우원회] 흰둥이와 검둥이에 대해서
- <흑과 백>

2002.9.15.일요일
딴지 영진공 추억영화 우원회

 
 


1950년대 쌀나라 미국이 풍기는 외재적인 이미지는 흠잡을 것이 없을 만큼 완벽했더랬다.


세계 2차 대전을 거치며 드러난 모습은 미국만이 세계의 질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진 빠워 오부 원의 마빡으로써 위상을 견고히 하였으며, 삶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려는 외부인들에게 미국은 개척의 이미지를 풍기는 어매리칸 드림, 즉 기회의 땅이었다.


비유띄, 벗뚜, 그러나,


이렇게 뻥뛰기 부풀려진 외부의 뜨거운 시선과는 달리 내부적으로 미국은 치유할 수 없는 골병을 앓고 있었더랬다. 뿌리깊게 오입해있던 검둥과 흰둥간의 인종갈등은 노골적인 적의와 편견으로 미국 내 서로 다른 두 나라를 형성하고 있었던 거다.


그럼에도 이에 대해 누구하나 나서서 비판하거나 치부를 드러내는 짓은 절때 하지 않았다. 왜와이뭣땜에? 잘못 주디 놀렸단 같은 진영에선 쓸데없는 짓 한다고 돌 맞고 반대 진영에선 똘아이 짓 한다고 매 맞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허거덕! 인종주의의 모순이 극단적인 대립양상을 보이던 1958년, 당시 미국 내부의 아킬레스건에 비판의 쌍도끼를 들이밀며 나선 이가 있으니 그가 바로 스탠리 크레이머였던 것이었던 것이다.









촬영 지시에 여념이 없는 스탠리 크레이머 대인



 


내리치는 빗발로 인해 불길한 전운이 감도는 어느 새벽녘. 일군의 죄수를 실은 호송차량이 홀라당, 불의의 전복사고를 당한다. 그리고 이 와중에 두 명의 죄수 검둥이 노아 컬렌(시드니 포이티어 분)과 흰둥이 존 잭슨(토니 커티스 분)이 함께 탈출을 감행하는데...


스탠리 크레이머가 연출한 희대의 문제작 <흑과 백>이다.



동반 탈출한 두 인종이 쇠사슬에 함께 묶여 도망친다는 설정은 감독의 문제의식과 관객의 긴장감이 서로 충돌하여 스파크를 일으키는 지점이다. 그리고 이는 다음의 대화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된다.


- 어떻게 흑인과 백인을 함께 묶었죠?
- 소장이 유머가 있거든. 걱정은 하지 말래. 얼마 못 가 서로 죽일거라는군.


노아와 존을 쫓는 수색대원들이 나누는 이 잔악 무도한 대화는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 앙숙의 관계임을 드러내는 일종의 잔인한 풍자이며 당시 사회에 독버섯처럼 퍼져있던 미국민의 의식을 잘 보여주는 사회 반영적 장면이다.


게다가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던 카메라는 위 대화를 나누던 인물들에게 갑자기 다가감(zoom in)으로써 위기감을 더욱 고조시킨다. 관객이 이 순간 검둥이와 흰둥이간에 비극적인 결말을 예상하는 것은 해창이가 대통령이 되면 울나라 꼬라지가 어떻게 될 지 도리질치는 것처럼 아주 당연한 수순이다.


그렇지만 감독은 예상과는 달리, 잠시 티격태격아웅다웅거리는 둘 간의 극단적인 갈등상황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주로 탈주과정에서 벌어지는 흰둥이와 검둥이 사이의 반목과 질시의 에피소두를 이용, 두 인종간의 균열과 편견을 조롱하고, 검둥이와 흰둥이의 사회 속 지위를 신랄하고 뼈아프게 똥침 놓아가며 노아와 존의 맘이 어떻게 융화되어 합일이 돼 가는지를 담담히 보여준다.


그니까 스탠리 크레이머 대인께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노아와 존이 걸어가는 길이 바로 미국이 나아가야 할 미래라는 거다.









이렇게 붙잡고 나아가란 말이다...


당 영화의 원제는 <The Defiant Ones>로 본 우원의 짧은 지식으로나마 굳이 해석함 해 보자면 쌈질하는 이들, 분노하는 잉간덜 정도가 된다. 틀렸음 말구...


뭐, <흑과 백>으로 의역한 국내제목이 크게 어긋난 건 아니지만서도 자칫 관객에게 당 영화의 의도를 흰둥이와 검둥이간의 문제로만 집중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원제를 함 들쑤셔 보았다.


다시 말해, <흑과 백>은 인종문제를 중심에 놓고 다루고 있지만 쫓기는 죄수라는 두 쥔공의 설정은 단지 흑인의 시선에 동정표를 던지는 인종문제를 의미할 뿐 아니라 흑인만이 아닌 인간자체로써의 자유를 갈구하는 사회의 약자 혹은 소외 받는 이들의 문제까지 다루고 있는 포괄적인 개념이라는 사실이다.


단적인 예로, 남편에게 버림받은 아내가 존을 유혹해 도회지로 나가려는 설정은 미국 내 흰둥이 남성이 지배하는 주 체제 속에 소외 받는 또 하나의 계층인 여성이 겪는 갈등극복이란 차원에서 이해 할 수 있다.


비꼬기의 대상은 더 있다. 노아와 존을 쫓는 추적자의 모습에서 감독은 당시 미국 사회의 어두운 경향에 묵직한 똥침을 놓는다.


경쾌한 음악에 맞춰 오락하듯 죄수를 쫓는 대원, 탈출한 죄수는 토깽이와 같다며 사살을 주장하는 이들에게서 미국 전역을 뻘갱이 콤플렉스에 빠뜨렸던 매카시의 마녀사냥을 덧칠한다. 그 뿐 아니라, 개새끼를 끔찍이도 아끼는 대원의 행동에 동물은 이다지도 정성스레 보살피면서 뭐땀시롱 같은 인간인 죄수(혹은 검둥이)에게는 그보다 몬한 학대를 가하냐며 꾸지람을 가하고 있다.


이렇듯 감독은 이 모든 요소들을 한 영화 속에 반죽하면서도 이야기를 삼천포로 빠뜨리지 않고 인종문제에 초점을 맞추면서 주변부 인간군상의 처지까지 함께 포진시키는 호리호리한 균형감각을 보여준다.




잘 아실랑가 모르실랑가 파악 안 되지만 당 영화의 감독 스탠리 크레이머(Stanly Kramer)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먹물파 감독, 제작자로 유명하다.


그는 당 영화 <흑과 백>을 감독하기 이전, 험프리 보가트 대인이 출연한 <케인호의 폭동 The Caine Mutiny>의 제작에 참여, 미 해군 법 조항이 내재하고 있는 모순을 지적함으로써 이미 미국 내부의 문제점에 이의를 제기한 반골 기질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흑과 백>의 성공 이후, 검둥이의 사회적 접근을 경계하는 미 궁민의 편견에 나비처럼 날아 본 공사처럼 똥침을 놓는 <초대받지 않은 손님 Guess Whos Coming to Dinner>과 같은 작품을 발표하여 흰둥이와 검둥이간의 갈등관계에 대해 고민하는 남다른 문제의식을 계속해서 쉬지 않고 보여줬더랬다.


이처럼 <흑과 백>은 여러모로 의미가 깊은 영화이다. 그 중에서도 앞썰했듯, 미국의 내부 문제 중에서 그것도 흰둥이와 검둥이 사이의 가장 민감한 상처부위를 정면으로 공격함으로써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실은 가장 높이 평가받는 부분이다.









후에 그는 아카데미 검둥이 최초 남우 주연상을 받게 되지만...


또한 토니 커티스와 함께 공동주연을 맡은 시드니 포이티어에게 당 영화는 자신의 연기 생활 중 첫 주연을 맡은 작품일 뿐 아니라 미국 영화사에서도 검둥이가 주연을 맡은 경우는 <흑과 백>이 첨이었다. 그래서 흑인들에게 당 영화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그가 검둥이란 사실은 그나마 의식이 있다는 크레이머에게도 하나의 유리한 옵션으로 받아들여지는데...


포이티어를 헐리웃에 데려온 20세기 폭스사의 제작자 대릴 F. 자누크의 입김을 받은 스탠리 크레이머 감독은 시드니 포이티어에게 당 영화 출연을 제의하면서 <Porgy and Bess>의 Porgy역에 출연해야한다는 조건을 제시, 승낙하지 않을 경우 방법에 들어가겠다고 협박한다.


당근 포이티어가 이 제안을 받아들인 것은 물론이다. 검둥이인 그가 헐리웃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헐리웃의 실세로 통하는 크레이머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밖에는 없었다.


결국 당시 미국의 모습처럼 당 영화 역시 외부적으로는 매우 의식적이며 그럴싸하게 포장되었을런지 모르지만 내부적으로는 이처럼 인종에 대한 썩어문드러진 관계를 그대로 내포하고 있는 미국의 속성 그 자체였던 거다.



 
딴진공 추억영화 우원회
검열우원 나뭉이
(namung@ddanzi.com)

Profile
딴지일보 공식 계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