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허남웅 추천0 비추천0

2009.12.18.금요일


허기자


 




'세상에는 세 종류의 사람이 있다. 남자와 여자, 그리고 여배우들이다.' <여배우들>의 본편이 상영되기 전 자막으로 제시되는 문구는 이 영화의 성격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그러니까 <여배우들>은 남자도 아니고 여자도 아닌 제3의 그것, 바로 여배우들이 어떤 존재인지를 보여주는 작품인 것이다.


 


2008년 12월 24일 모 사진 스튜디오에 윤여정, 이미숙, 고현정, 최지우, 김민희, 김옥빈이 집결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여배우 6인'이라는 표제 하에 패션지 VOGUE의 2009년 1월호 표지의 사진 촬영과 인터뷰를 위해 모인 것. 하지만 자칭 타칭 자존심 강한 6인의 여배우가 한자리에 모이자 촬영이 순조롭지 못하다. 윤여정은 다른 동년배 배우의 대타로 이 자리에 낀 것 같아, 이미숙은 사진 촬영 자체가 성격상 견디기 힘들어, 고현정은 스타 티를 노골적으로 풍기는 최지우가 맘에 들지 않아, 최지우는 툭하면 시비를 걸고 들어오는 고현정이 얄미워서, 김민희는 전날까지 이어진 해외 촬영으로 시차적응이 되지 않아, 김옥빈은 선배들의 눈치를 보느라 묘한 긴장감이 흐르는 것이다.


 


<여배우들>의 이재용 감독은 무대 위의 여배우들이 아닌 무대 뒤편의 여배우들, 풍문으로는 떠돌지만 그 실체에 대해서는 베일에 가려진 여배우들의 진솔한 속내에 카메라를 들이댄다. 5대의 카메라가 분주한 촬영 현장을 이리저리 뛰어가며 잡아낸 <여배우들>의 영상은 흡사 <클로버필드>에 육박하는 어지러움을 선사할 정도다. 다르다면, <클로버필드>가 파괴현장의 중심에 관객이 직접 서있는 느낌을 이미지적으로 제공한다면 <여배우들>은 여배우들의 심정에 관객들이 최대한 몰입하게끔 감정적으로 밀착하게 기능한다.


 


<여배우들>이 펼치는 지극히 사적이고 비밀스러운 대화 내용을 듣고 있노라면 나도 모르게 그들의 이야기에 푹 빠지게 된다. 물론 윤여정의 이혼 사유와 같은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유의 가십성 이야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오십이 넘은 나이에도 평생을 여자로 살고 싶다는 이미숙의 고백은, 마땅한 작품이 없어 미래가 불투명한 김민희의 고민은 여배우라는 선입견을 깨뜨리기에 좋을 만큼 인간적인 측면에서 감정적인 동화를 선사한다. 특히 기가 세다고 소문난 이미숙과 고현정이 이혼 이후 여배우 삶에 대한 심정을 토로하며 눈물을 흘리는 장면은 <여배우들>의 제작 의도를 가장 잘 드러낸 대목이라 할만하다.


 


다만 이것이 온전히 실제 상황이라고 혼동해서는 곤란하다. 다큐멘터리 형식을 도입했고 배우들의 즉흥 연기가 가미된 것은 사실이지만 (이 영화의 각본에는 여섯 명 배우의 이름이 모두 크레딧에 올라있다!) <여배우들>은 최소한의 설정만 가지고 배우가 그 자신을 연기하는 엄연한 픽션이다. 예컨대, 극중 VOGUE의 촬영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며 고현정과 최지우의 갈등은 각본에 이미 설정된 것들이다. 극의 흐름만 하더라도 무대의 앞과 뒤를 나누어 계산한 티가 역력하다. 전반부가 패션지 화보에 대한 다큐멘터리라면 후반부는 사회자가 없는 토크쇼를 보는 것 같은 분위기가 지배적인 것이다.


 


하여 <여배우가>가 관객에게 어필(?)하는 현기증은 감각의 현기증이라기보다 현실과 픽션의 경계를 구분하기 힘든 이성적인 현기증에 가깝다. 아무리 한국을 대표하는 여배우 6인이 진실을 드러낸다고 하지만 거기에는 어느 정도의 설정이 끼어들었음을 자명하다. 고현정과 최지우의 갈등이 창밖의 눈 내리는 광경으로 조성된 판타지적인 분위기로 갑작스럽게 해소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여배우라는 존재 자체가 그렇다. 스크린을 통해 비치는 여배우들의 화려한 면모는 그렇게 비현실적일 수 없지만 스크린을 떠난 그들의 모습에는 현실의 아우라가 짙게 깔려있다. 다시 말해, <여배우들>이 보여주는 여배우는 현실과 픽션을 넘나드는 경계인에 가깝다. 이 영화가 어지럽게 느껴진다면 여배우들이 그만큼 현기증 나는 존재라는 뜻일 거다.  

Profile
딴지일보 공식 계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