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아내가 나를 처음 만나기 한참 전부터 8년 넘게 살았던, 낡아빠진 투룸 월세집이 있던 동네가 재개발된 덕분에 우리는 서울 한복판에 있는 뉴타운 아파트의 임대 단지에 신혼집을 마련할 수 있었다. 비록 전용면적 36제곱 미터(약 11평)짜리 작은 집이었지만 둘이 살기에 문제는 전혀 없었다. 주변 시세 보다 말도 안되게 저렴한 전세보증금을 들은 내 친구들은 ‘평생 와이프에게 봉사하며 살라’며 나를 도둑놈 취급했다. 그렇게 새 건물 냄새가 빠지지도 않은 신축 아파트에 입주한 지 5년하고도 반이 지났다. 

 

석 달 뒤에 우리는 서울 살이를 접고 지방 도시로 이사를 간다. 이유라면 몇 가지 있겠는데 딱 잘라 말하면 역시나 ‘돈’과 ‘가족’때문이랄까. 선택의 여지가 아예 없지는 않았으나 올해 2월에 태어난 아들을 지금보다 널찍한 집에서 키우고 싶은 욕심도 있었다. 그 욕심을 채우기에 서울은 나에게 너무나 비싼 곳이다. 

 

1.jpg

 

5월쯤 이사를 하기로 진작에 정해놓고 지난해 11월부터 부동산 앱으로 이사 갈 동네의 아파트 시세를 부지런히 눈팅하다가 2월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아파트 전세를 알아보기 시작했다.

 

허니버터 전셋집을 찾아서

 

지방 도시의 점찍어둔 동네는 90년대 중반에서 후반 사이에 지어진 구축 아파트가 밀집한 곳이다. 아파트는 오래됐지만 주변 환경이 쾌적한데다 학교, 도서관, 공원, 대형마트, 종합병원, 역과 같은 생활 인프라도 가까이에 있어 살기에 불편한 점이 별로 없어 보였다. 아파트가 오래됐다는 점도 우리 자금 사정을 놓고 보면 오히려 장점이었다. 

 

문제는 씨가 말라버린 전세 매물인데… 그나마 24평 전세 매물은 드문드문 있었지만 32평 전세는 800세대가 넘게 사는 단지에서 단 한 개의 매물도 발견할 수 없었다. 십수 개의 아파트 단지를 탈탈 털어도 하나 있을까 말까였다.

 

구축 아파트라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10% 미만일 정도로 딱 붙어있는 동네에서 24평과 32평 전세의 갭 또한 크지 않았다. 몇 천만 원 차이라면 그럴 바에 32평 전세를 구하고 싶었다. 중고등학교 다닐 적에 24평 아파트에서 네 식구가 함께 살았어도 한 번도 집이 좁다고 느껴보지 못했지만(아마도 네 식구가 단칸방에 살았던 더 오래전 기억 덕분이겠지만) 어쩐지 마음이 내키지 않았다. 서울에서 인터넷과 전화로만 알아보다가 답답한 마음에 동네로 찾아가 주변 부동산들을 훑었다.

 

“32평 전세 있어요?”

 

부동산 문을 열고 들어서며 이렇게 말하는 나를 보는 부동산 사장님들의 표정이 어딘지 모르게 익숙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예전에 ‘허니버터칩’이 처음 나오고 대란이 났을 때 허니버터칩이 있냐고 물어보는 나를 대하는 편의점 사장님 표정이 딱 그랬던 것 같다. ‘없는 거 뻔히 알면서 굳이 뭘 물어쌌고 그러나’하는 심드렁한 표정으로 나를 보는 부동산 사장님 몇 분을 겪고 나자 ‘32평 전세 있어요?’는 어느새 ‘32평 전세 없죠?’로 바뀌었다.

 

2.jpg

 

남은 시간은 대략 석 달, 그전에 갈만한 서른두 평 전세 매물이 나올까? 나오지 않는다면 결국 스물네 평 전세를 구해야할까. 심란한 와중에 다른 생각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전세가 없으면 사면 되잖아?’

 

안분지족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거의 없는 구축 아파트, 어차피 신혼부부 버팀목 대출이든 보금자리론이든 땡겨야 하는 상황이라면 나가는 돈과 갚아야 할 액수에도 큰 차이는 없다. 딱 하나, 딱 하나 아주 큰 건을 포기해야하는 것 뻬곤 말이다.

 

청약을 포기하고 집을 사면 어떻겠냐는 물음에 누나와 친한 친구들이 모두 말렸다. 신혼 특공, 생애 첫 주택 특공 이런 건 서민들이 그나마 ‘똘똘한 한 채’를 얻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편이니 그럴만하다. ‘전세로 몇 년 참으면서 부지런히 주변 신도시에 청약 넣어라’, ‘아깝게 그걸 왜 포기하고 구축 아파트를 사서 들어가냐’, ‘처음에 어떻게 시작하느냐에 따라서 10~20년 후에는 차이가 어마어마하게 벌어진다’는 다 일리가 있고 틀리지 않은 말들이었다. 어쩐지 첫 직장 연봉에 따라 40대 이후 생활이 달라진다는, 대학시절에 들었던 말이 오버랩됐다.

 

말려서 들었을 것 같으면 애초에 묻지도 않는 게 사람이다. 묻기 전부터 내 결정은 80% 이상 정해져 있었다. 나는 반쯤 망설이고 있던 아내를 설득했고, 결국 집을 사기로 했다. 신혼특공에 당첨되어 들어간 신도시 새 아파트 집값이 우리 아들보다 더 무럭무럭 자라서 1억도 벌고 2억도 벌면 참 좋긴 하겠는데, 아이 키우면서 살기 좋은 동네 구축 아파트 한 채 사서 인테리어 말끔하게 하고 들어가 오랫동안 사는 쪽이 더 끌렸다. 집값이 언제까지나 그렇게 하염없이 솟을 지 장담할 수 없고 암만 특별공급에 넣는다 해도 청약 당첨이 그렇게 녹록한 일이 아닌데 언젠가 당첨은 되겠지만 얼마나 기다려야 할지 확실하지 않다는 것도 별로였다. 불확실한 변수를 인내하며 당장의 몇 년을 참고 사는 것보다는 지금, 바로 확실하게 만족과 안정을 얻고 싶었다. 인생은 짧고 오늘은 소중하다는, 나처럼 참을성 없고 성질 급한 사람들이 딱 좋아할 만한 명분에 의지하기로 했다.

 

32평 아파트 전세를 구하는 사람이 32평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이 되자 나를 대하는 부동산 사장님들의 텐션이 쭉쭉 올라갔다. 저층이냐 고층이냐, 1층이냐 꼭대기냐, 남향이냐 사이드냐 등등 전세 구할 때 하고는 또 다르게 이것저것 따질 것도 많고 조건에 따라 집값도 제각각이었지만 있지도 않은 매물을 기다리는 것보다는 훨씬 수월했다. 

 

오래 살 집이니 돈을 조금 더 들이더라도 인기 있는 층수를 잡았다. 15층 아파트에 10층이니 더할 나위 없었다. 거의 수리가 되지 않아 같은 층수에 비해 비교적 집값이 싼 매물이라 인테리어 공사를 하고 들어가기에도 좋았다.

 

3.jpg

 

인알못의 인테리어

 

가계약까지 마쳤다. 집을 알아보기 시작할 때부터 인테리어 공사를 하고 입주할 의향을 밝힌 나에게 부동산 사장님은 이렇게 말했었다.

 

“아유~ 32평이면 샷시까지 해서 올수리하는 데 2천5백이면 충분하지”

 

인테리어에 이응도 모르는 내가 이 말을 덜컥 믿고 이 정도면 예산은 충분하겠다며 안심했던 게 불과 열흘 전이었다. 그 사이 나는 이제 인테리어의 딱 이응 정도까지만 알게 되었을 뿐인데도 그게 얼마나 애매모호하고 불확실한 말이었는지 몸과 마음을 다바쳐 사무치게 느끼는 중이다.(불가능하다는 말은 아니다)

 

‘구축 아파트 사서 인테리어 깔끔하게 하고 들어간다’는 단순한 한 문장에, ‘깔끔하게’라는 한 단어에 얼마나 많은 선택과 고민, 인내와 고통이 뒤따르는지 나는 이제 막 첫 발을 내디뎠을 뿐이다. 

 

이제 그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한다. 인테리어 전혀 모르는 사람의 구축 아파트 인테리어 도전기. 이미 빠삭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전혀 도움 되지 않을, 하지만 나만큼이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조금이나마 선행 학습이 될 나의 경험담은 현재 실시간으로 진행 중이다.

 

턴키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매매 계약일까지는 대략 두 달에서 두 달 반 가량 남아 있다. 이 말은 곧 인테리어 공사 개시일까지 딱 그 정도 시간이 남아 있다는 걸 뜻한다. ‘인알못’인 나는 그게 뭘 의미하는지 전혀 알지 못했다. 내가 인테리어에 대해 얼마나 모르고 있는 건지, 그게 실제 공사 과정과 비용, 결과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따라서 최소한 어느 정도를 알아야 하는지 아무것도 몰랐다. 그전에, 인테리어 공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조차 몰랐다. 딱 일주일 지나니까 알겠더라. 아, 시간이 엄청 부족하구나. 

 

‘32평이면 샷시까지 해서 올 수리하는 데 2천5백만 원이면 충분’하다는 부동산 사장님의 말씀을 하나씩 뜯어보자. 이 말은 경우에 따라서 전혀 틀린 구석이 없다. 일단 2천5백으로 저 정도 공사를 하는 게 불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인테리어 공사의 목적을 ‘수리’하는 데에 둔다면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낡은 걸 뜯어서 새것으로 바꾸기만 하면 되는 공사하면 그럴 수 있다. 같은 욕실도 그냥 다 뜯고 타일 새로 까는 데에 의의를 두는 것과 내가 원하는 예쁘고 화사한 욕실을 구현하는 것 사이에는 어마어마한 차이가 있다. 심지어 있던 타일 위에 새 타일 얹는 방식과 있던 타일 몽땅 철거하고 새로 까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나 같은 인테리어 무지랭이가 인테리어 공사를 하겠다고 덤벼들 때 가장 ‘개노답’인 부분은 내가 뭘 원하는지 스스로도 막연한 상태라는 점이다. 이게 어떤 문제를 파생시키는지 딱 한 발짝만 더 나가보면, 우리가 어떤 낭떠러지를 눈앞에 두고 있었는지 알게 될 거다.

 

방금 얘기한 문제와 인테리어에 대한 무지로 인하여 나 같은 이들은 인테리어 공사를 ‘턴키'로 맡길 수밖에 없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이 여기서부터 막히기 시작한다면 나로서는 축하하고 환영할 일이다. 이 글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사람이 바로 당신이라는 뜻이니까.

 

2017062903467_0.jpg

 

‘인테리어’라고 퉁치는 이 공사에는 정말 많은 세부 요소가 있다. 아파트를 예로 들 경우, 콘크리트 뼈대를 제외하고 내부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들이 인테리어 세부 공사의 대상이 된다. 전기와 배선 작업을 하는 분들은 전기 공사를 하고 욕실이나 발코니 타일을 까는 분들은 타일 공사를 한다. 샷시 교체는 그것대로 따로 작업을 하는 분들이 있고, 도배는 도배 기술자들에게 맡겨야 한다. 그러니까 우리가 할 수만 있다면 인테리어 공사에 필요한 모든 세부 공사를 우리가 원하는 각각의 업체나 기술자에게 맡길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우리는 인알못이고, 당연히 그럴 지식도 능력도 없는 데다 그걸 쌓을 시간도 여유도 없다. 

 

인테리어 공사를 턴키로 맡길 수밖에 없는 이유다. 모든 세부 공사를 하나의 업체에 맡겨 총괄하게 하고 우리는 공사가 끝난 후에 말 그대로 현관 열쇠만 받아서 문 열고 들어가 살면 되는 거, 그게 턴키다.

 

턴키로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치자(그거 아니면 달리 방법도 없다). 이제 업체를 선정해서 공사 계약을 해야 하는데 또 난관이다. 잘 모르는 사람 호갱되기 십상인 여러 종목 중에서도 가장 이름난 분야가 인테리어라는데, 누가 인테리어 한 얘기 옆에서 들으면 잘 돼서 만족한다는 말보다는 맘에 안든다, 싸웠다, 바가지 썼다는 말이 더 많던데 믿을 만한 업체를 어디서 만나지? 그래서 보통 연세 지긋하신 분들은 인맥을 활용한다. 직장, 교회, 이웃 주민, 동창까지 직접 아는 사람이거나 아는 사람에서 한두 다리만 건너면 인테리어 하는 분들은 꼭 있게 마련이다. ‘그래도 아는 사람 소개로 하는 건데 큰일이야 있으려구’하는 맘으로 들 많이 맡기신다. 

 

그런가 하면 휴대폰 살 때, 중고차 살 때, 보험 들 때마다 아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말을 경험으로 체득한 이들은 셀프 검색을 통해 인테리어 업체를 알아본다. 아무래도 비교적 젊은 세대가 이런 쪽에 밝아서 많이 활용한다.

 

그럼 어떤 쪽이 더 결과가 좋은가 하면, 이 상태로는 답을 내릴 수 없다. 다음 스텝은 인테리어 업체에 견적을 문의하는 것인데, 견적 요청을 어떤 모냥으로 하느냐에 따라 대충 그다음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의 견적 또한 나온다 할 수 있겠다. 

 

다음 시간에는 인알못인 내가 매우 압축적으로 인테리어의 이응까지를 공부하고 나서 견적을 의뢰하고 상담하기까지의 과정이 이어진다. 모든 일이 실시간 진행중이라 이 이야기의 끝이 어떤 모습일지 실은 내가 더 궁금한 바, 여러분에게도 흥미롭기를 바랄 뿐이다. 그래야 망해도 뭐하나 남는 게 있을 것 같으니까.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