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사 추천 기사 연재 기사 마빡 리스트

 

병자호란은 한국사에서 가장 굴욕적인 순간 중 하나로 꼽힙니다. 워낙 원사이드하고 깔끔하게 밀렸기 때문에, 임진왜란만큼 기록이 다양하지 않습니다. 특히, 전쟁을 직격으로 맞은 일반 백성들의 상황을 담은 기록은 더욱 드뭅니다. 글을 쓸 틈새도 없이 잡히거나, 죽거나, 끌려갔던 것이죠.

 

영화 남한산성.jpg

영화 <남한산성>

 

 

병자호란 중 백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그나마 남은 일기들은 남한산성에서 항전(이라 쓰고 사실상 뒤주 신세였던) 관리들의 기록들이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남한산성 안에서 왕을 보필한 문관 석지형(石之珩, 1610~?)의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의 기록을 중심으로 여러 일기를 엮었습니다. 

 

(석지형은 인조 12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며 관직에 진출한 조선 후기 문신이다. 저서로는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외부와 연락이 끊긴 채 소수의 군사로 버티다가 결국 직접 나가 항복했던 비극을 그대로 쓴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과 문집인 《수현집(壽峴集)》 등이 있다) 

 

그들의 기억을 통해, 급박했던 남한산성 안의 상황, 그리고 그들이 무력하게 지켜보기만 해야 했던 백성들의 고통을 살펴보겠습니다.

 

(병자호란이 발생한 초기의 스토리는 1편에서, 링크)

 

 

전쟁 초기부터 워낙 원사이드하게 밀렸기 때문에, 전쟁이 발발하고 약 한 달쯤 지났을 당시 군사들의 사기는 바닥을 쳤습니다. 사기가 바닥에 떨어진 순간, 조정에서는 군사들에게 하나의 ‘당근’을 내밉니다. 이른바, ‘10년간 세금 풀 면제’ 카드였습니다. 

 

 

1637년 1월 11일 -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매우 추운 날이었다. 관리들이 성을 순찰하며 장수와 군사들을 위로하기 위해 이렇게 말했다.

 

“전쟁이 끝나면, 앞으로 10년 동안 자네들의 세금과 잡역을 면제할 것이네.”

 

그러나 군졸들은 그 말을 듣고 비웃으며,

 

“나라가 망할 것 같으면 갑자기 은혜를 베풀 것처럼 말하면서, 전쟁이 끝나면 항상 도루묵이었소. 우리가 또 속을 것 같으시오?” 

 

관리들이 그들을 점잖게 타일렀지만, 아무도 믿지 않았다.

 

고심 끝에 꺼낸 ‘세금 풀면제’ 카드는 군사들에게 씨알도 먹히지 않았고, 오히려 비웃음만 사게 되죠. 이미 한번 칼을 맞부딪혀 본 군사들은 알았을 겁니다. ‘맞서 싸우는 건 노답이다’라는 것을요. 

 

왕도, 신하들도, 그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좀처럼 그 말을 쉽게 꺼내는 사람이 없죠. 양심 있는 관리가 총대를 메고 나서도, 임금도 조정도 산으로 가는 배처럼 요동칩니다.

 

남한산성 인조.jpg

 

 

1637년 1월 20일 -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최명길이 국서를 다시 써 임금님께 보고했다. 임금님은,

 

“나는 차마 이 글을 눈 뜨고 볼 수가 없다. 경들이 알아서 하라.”

 

라고 말했다. 예조판서 김상헌은 국서를 찢어버리며 최명길에게 따졌다.

 

“어떻게 이런 글을 쓸 수가 있단 말이오! 어떻게!”

 

“나 최명길을 욕하지 마시오. 나는 그저 명을 받았을 뿐이오.”

 

이성구는 그 소식을 듣고 궐 안으로 달려 들어가 김상헌에게 따졌다.

 

“그대는 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소? 화친을 다 말아먹을 생각이오?”

 

“그대는 제찰부사씩이나 되어서 싸울 생각은 없고 화친할 생각뿐이니, 정말 쓸모없는 제찰부사가 아니겠소?”

 

“그렇다면 나라가 망한 뒤에야 그 짓을 그만할 것인가? 그대는 훗날에 멋있는 이름을 남기겠지만, 나라가 망한다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두 신하가 분노하며 말다툼을 이어가자, 나머지 신하들은 모두 자리를 떠났다.

 

김상헌 최명길.png

 

청나라 황제가 항복을 종용하자, 조정에서는 화친 논의를 두고 혼란에 빠집니다. 특히, ‘황제’를 인정하냐, 하지 않는가가 핵심이었습니다. 

 

어제까진 분명 우리가 털고 다니던 옆 동네 양아치였는데, 갑자기 ‘갓물주’가 된 그들에게 머리를 조아려야 하는 현실. 이 괴리에서 온 인지부조화는 그들의 눈을 가리게 하였죠. 왕은 “느그들이 알아서 하라”라고 못 본 척하고, 총대를 멘 관리들은 역적이라는 욕을 먹은 채, 화친 논의는 제대로 진행되지 않습니다. 

 

그럴수록 늘어나는 것은 백성들의 고통뿐이었죠. 이 지경에 이르자, 일선 군사들마저 대놓고 화친을 주장하기 시작합니다.

 

 

1637년 1월 26일 - 『병자일록(丙子日錄)』

 

군사들이 궁궐에서 임금님께 고했다.

 

“청군의 대포가 성벽을 무너뜨려 이미 함락 직전의 상황입니다. 그러나 글쟁이들은 이 와중에도 의리가 어떻고 절개가 어떻다고 하고 있으니, 화친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그들을 어서 청군에게 내주십시오. 그렇지 않다면, 저희 대신 그들을 성벽에 세워서 성을 지키게 하소서”

 

그들을 지켜보던 한 문관이 칼을 빼 들고,

 

“나라를 지켜야 할 군사들이 감히 어떻게 이런 짓을 할 수 있는가! 내 손으로 직접 너희들을 죽이겠다!”

 

라고 성을 냈다. 그러나 그 모습을 본 군사들은,

 

“아이고, 승지(承旨)가 칼을 빼 들다니 그래도 용기는 좀 있구먼. 그런데 왜 적과 싸울 때는 그 용기가 사라지는 것인가. 죄 없는 사람에게만 센 척하려고 하니, 승지의 용기 수준 알 만하다.”

 

라며 비꼴 뿐이었다.

 

남한산성111.PNG

 

‘화친 반대자들을 내놓으라’라는 청나라 황제의 요구에 척화파들은 몸을 사리며 누구도 나서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군사들이 직접 나서서 그들을 내보내거나, 아니면 직접 싸우게 시키라고 하죠. 그 모습을 본 한 승지가 칼을 빼고 그들을 꾸짖지만, 군사들은 그를 ‘걍약약강’한 자라며 신랄하게 야유합니다.

 

결국, 삼배구고두례로 유명한 삼전도의 굴욕으로 전쟁이 끝납니다. 인조의 어가가 삼전도로 향할 때, 사로잡힌 조선의 백성들은 임금에게 살려달라고 소리칩니다.

 

 

1637년 1월 30일 -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임금님의 수레가 성을 나와 한양으로 향했다. 곳곳의 산과 언덕에 청나라 군사들이 벌떼처럼 모여 있었다. 또 그들의 막사에는 약탈하여 얻은 짐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저 멀리 벌판에는, 청나라 군사들에게 사로잡힌 조선의 남녀들이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울부짖는 백성들.png

 

그들은 임금의 수레를 바라보며 울부짖으며,

 

“전하! 저는 ㅁㅁ대감댁의 며느리입니다! 저를 구해주시옵소서!”

 

“전하! 저는 ㅇㅇㅇ의 아들입니다! 살려주시옵소서!”

 

라고 아우성치는데, 그럴 때마다 청나라 군사들은 그들을 움켜잡고 마구 때렸다.

 

(중략)

 

임금님이 청나라 황제에게 사로잡힌 사대부의 가족들을 돌려보내기를 요청하니, 황제가 허락했다. 그러자 천민과 종들은,

 

“임금이 우리를 버렸다! 기어코 임금이 우리를 버리고 말았다!”

 

라며 원망하였다.

 

인조의 어가가 향할 때마다 멀리서 자신을 구해달라는 백성들의 외침이 끊이질 않습니다. 그들은 청군에게 구타당하면서도 발악을 멈추지 않았죠. 모든 항복 의식이 끝난 후, 인조는 청나라 황제에게 요청합니다. 

 

“사로잡힌 사대부의 가족들을 풀어주십시오.” 

 

인조 절.png

홍타이지.PNG

 

황제는 그 청을 받아들였지만, 그 소식을 들은 천민들은 임금이 자신들을 버렸다며 분노에 젖죠. 들끓는 민심이 어찌나 심했던지, 인조는 “일이 이 지경에 이르러 어쩔 수가 없었다. 백성들은 부덕한 과인을 책망만 하지 말라”라는 교서를 내려야만 했습니다.

 

고작 두 달 남짓의 기간, 수도 한양은 심각하게 파괴되었습니다. 폐허가 된 한양의 풍경을 들여다보죠.

 

<계속>

 

 

 
 

 

편집부 주

 

독자 여러분의 성원 덕에 

필자의 책,<시시콜콜한 조선의 편지들>

여전히 잘 팔리고 있다는 소식이다. 

 

새로 나온 후속작, 

<시시콜콜한 조선의 일기들>

절찬리 판매 중이다. 

 

안 사줄 것 같이 하다가 기사가 올라오면

슬그머니 주문하는 샤이 독자 여러분 덕에 

필자는 눅눅한 골방에서 

조금 덜 눅눅한 골방으로 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전망이다.

 

 

1213.jpg

 

 

Profile
조선사 교양서를 쓰고 있는, 딴지가 배출한 또 하나의 잉여 작가
딴지의 조선사, 문화재, 불교, 축구 파트를 맡고 있슴다.
이 네 개 파트의 미래가 어둡다는 거지요.

『시시콜콜한 조선의 편지들』
『시시콜콜한 조선의 일기들』
『시시콜콜 조선복지실록』
『시시콜콜 조선부동산실록』 신간(*´∪`)

https://www.instagram.com/ddirori0_099